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김일환 총장, 2023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 발표 ... 캠퍼스 공간 재배치, 사라캠퍼스 이전 추진

 

개교 71주년을 맞은 제주대가 학과 통·폐합, 단과대 수 감축, 3학기제 등 학사 구조 개편을 추진한다.

 

제주대 김일환 총장은 23일 대학 본관 회의실에서 개교 71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열어 올해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제주대는 학사구조 개편을 위해 실시한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달 중 개편안을 수립하고, 구성원 의견 수렴 등을 거쳐 개편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개편안 시행 시기는 2025학년도를 목표로 한다.

 

김 총장은 "학령인구 감소 등을 고려해 10∼20년 뒤를 내다보고 학사구조 개편을 추진하는 것으로, 일반 단과대학을 대상으로 한다"며 유사 학과 통·폐합을 통한 대외 경쟁력 강화, 단과대 수 감축을 통한 행정의 효율화, 지역 전략산업 부합 등을 개편 방향으로 제시했다.

 

단 지역거점국립대 책무성을 고려해 기초학문 분야는 보호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제주대는 또한 수요자 중심의 유연한 학사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제주대는 역량 중심 교육과정인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융복합 학습과 전문 분야 교육을 위한 9∼18학점의 소단위 교육과정)을 2학기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또 기존 2학기에 계절학기를 포함한 '3학기제' 등 대학 실정에 맞는 유연학기제 모델도 개발한다.

 

더불어 캠퍼스 내 공간 재배치를 통해 효율적인 대학 운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제주대는 2027년까지 대학 본관과 중앙도서관 자리를 맞바꾸는 등 공간 재배치를 하고, 디지털도서관 기능이 반영된 인공지능(AI)융복합관을 구축한다. 또한 제주대병원 부지 내에 의대 3호관을 신축하고, 아라캠퍼스에 있는 의과대학 1호관을 신축 건물에 재배치해 의과대학 통합캠퍼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진로·취업 교과목 확대 운영, IT·관광 등 전문 분야별 해외 인턴십과 해외취업 집중 지원, 교환학생과 어학연수 등 지원 확대, 국제학부 신설 등 학생 진로·취업과 글로벌 역량 강화에도 박차를 가한다.

 

연구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수 업적 평가 규정 개선과 창업 지원 신규 국책사업 운영, 동물실험센터 신축과 실험실 환경 개선 등을 추진한다.

 

단과대학 스터디 카페도 조성한다.

 

김 총장은 역점 추진할 부분으로 '융합교육 강화'를 꼽았다. 그러면서 "융합전공, 연계전공 등으로 학과간 칸막이를 없애서 학생들이 자기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 방향을 바꿔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시공간을 초월한 교육을 할 수 있도록 교육 패러다임을 바꾸고,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교육을 할 수 있는 강의실을 만드는 등 인프라를 갖춰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김일환 총장은 사라캠퍼스 이전과 관련해서는 "교육부에 예산을 신청했으며, 올해 말 예산이 통과되고 내년부터 설계에 들어가면 본격적으로 이전하는 데 3∼4년은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