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제주공항서 유해 발굴 10여년 만에 신원 확인 ... 군법회의 희생자 1명, 행방불명 희생자 2명

 

"75년 만에 처음 아버지라고 부르려니…."

 

생이별을 했던 아버지 고(故) 강창근씨가 75년이 흘러 유해로나마 딸의 품으로 돌아왔다.

 

28일 오후 제주4·3평화공원 평화교육센터 대강당에서 열린 제주4·3 희생자 신원 확인 보고회에서 강씨의 딸 술생(77)씨는 겨우겨우 나오는 목소리로 준비해 온 편지를 읽어내렸다.

 

아버지 강씨는 1948년 8월 어머니 심부름을 하러 나갔다 행방불명됐다. 몇 달이 지나서야 주정공장에 감금됐다 경찰서로 이송됐다는 소문이 들려 왔다. 그러나 생사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것으로 끝이었다.

 

강술생씨는 "아버지는 18살에 결혼해 19살 때 행방불명됐다"며 "내가 갓난아기 때 아버지가 행방불명되면서 평생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불러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아버지를 영원히 볼 수 없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이렇게 꿈에 그리던 아버지가 돌아와 믿을 수가 없다"며 "내가 죽기 전 생각지도 못하게 아버지 유해를 찾아 평화공원에 모실 수 있게 돼 감사하다"고 전했다.

 

이날 영면에 든 희생자는 김칠규(사망 당시 34세)·강창근(사망 당시 20세)·김두옥(사망 당시 26세)씨 등 3명이다.

 

희생자 김칠규씨는 1948년 12월 30일 제주읍 이호리 집을 나갔다가 토벌대에 잡혀간 후 행방불명됐다. 불법 군법회의 수형인 명부에서 이름이 확인된 김씨는 1949년 6월 28일 옛 정뜨르비행장(현 제주국제공항)에서 사형이 집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희생자 김두옥씨는 1948년 11월 중순께 살던 마을이 토벌대에 공습을 받아 지낼 곳이 없자 야산에서 숨어지냈다. 1948년 12월께 일가족이 희생된 현장에서 시신을 수습하고 부친, 동생과 화순리에서 살던 중 누군가 '중산간에서 내려왔다'고 신고하는 바람에 군경에 끌려갔다.

 

1949년 7월 옛 정뜨르비행장에서 총살당했다는 이야기가 들렸다. 당시 부친이 현장을 확인했지만 시신은 찾을 수 없었다.

 

이들 유해는 모두 2008년 제주국제공항 남북활주로에서 발견됐다.

 

하지만 유해 발굴 이후에도 10년 가까이 유족을 찾지 못해 신원을 확인하지 못하다가 지난해 추가로 채혈을 한 유족 279명의 DNA와 대조한 끝에 신원이 확인됐다.

 

제주도와 재단은 2006년부터 제주시 화북천을 시작으로 2007~2009년 제주국제공항, 2021년 표선면 가시리, 서귀포시 상예동 등 도내 곳곳에서 제주4·3 희생자 유해 411구를 발굴했다. 이 중 신원이 확인된 희생자는 141명이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연합뉴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