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자연체험파크 조성 사업지 내 곶자왈 [곶자왈포럼]](http://www.jnuri.net/data/photos/20221250/art_1671081060183_c05221.jpg)
오영훈 제주도정이 제주자연체험파크 조성사업을 승인하자 제주도내 환경단체들이 일제히 반발하고 있다.
곶자왈사람들, 제주생태관광협회, 제주참여환경연대, 제주올레, 제주자연의벗, 제주환경운동연합, 자연환경국민신탁 등 도내 환경단체들은 15일 공동성명을 내고 "곶자왈을 포기한 오영훈 제주도정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2015년 이후 지속적인 여러 논란 속에 추진돼 왔던 사업에 대한 오영훈 도정의 대답은 개발승인"이라면서 "지난 7월 1일 출범한 오영훈 도정의 곶자왈 보전 입장에 대한 첫 행보는 곶자왈을 파괴하는 개발사업자의 손을 들어준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로써 대규모의 곶자왈이 또다시 개발로 사라지게 됐다"면서 "제주자연체험파크 조성사업은 지금까지 도내에서 이뤄진 개발사업 중에서도 손에 꼽힐 정도로 많은 논란을 안고 있는 사업"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이 사업은 추진 이래 부실한 환경영향평가, 공무원의 마을주민 개인정보 유출, 공무원이 환경영향평가 용역에 참여해 불거진 공무원법 위반 논란, 사업부지 임대 유효 논란에도 통과된 도의회 동의, 사업승인 전 사전공사로 인한 멸종위기종 개가시나무를 포함한 법정보호종 훼손 및 불법 산림 훼손 등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세계적 멸종위기종 제주고사리삼 군락지에 들어서는 사업으로, 사업대상지는 반드시 보전돼야 할 곶자왈"이라면서 "이 지역은 제주의 고유종이자 지구적 멸종위기종인 제주고사리삼 서식지가 100여 곳이 넘게 확인됐고, 개가시나무, 백서향, 버들일엽, 나도고사리삼 등의 법정보호종이 사업지 전역에 분포하는 등 생태적으로 우수해 개발입지로서는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또 "최근 제주고사리삼을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상향한 환경부의 결정이 있었다. 늦게나마 국가기관에서도 곶자왈을 삶터로 살아가는 보호종과 곶자왈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오영훈 도정은 수많은 논란에도 도민의 목소리를 외면하고 곶자왈 보전 정책의 앞날을 가름할 중요한 시험대에서 결국 곶자왈 포기를 선택했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미래 경쟁력인 환경과 자원을 보존하는 지속 가능한 ‘그린 도정’으로 전환하겠다는 오영훈 도정이 기본 철학을 스스로 깨버렸다"면서 "오영훈 도정은 2008년 김태환 도정의 제주영어교육도시 개발사업 승인 이래 대규모 개발사업에 또다시 곶자왈을 내어준 도정으로 남게 됐다"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오영훈 도정은 제주만이 가진 환경자산인 곶자왈을 포기하고 미래 경쟁력을 가진 환경과 자원을 보존하겠다는 이중적인 태도는 버려야 한다"며 "오영훈 도정은 반성하고 각성해야 한다. 곶자왈 보전이라는 도민의 목소리를 져버린 오영훈 도정의 결정은 역사에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제주도는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산1번지 일원에 조성하려는 제주자연체험파크 조성사업 개발사업을 승인, 이를 14일 고시했다.
제주자연체험파크 조성사업은 2015년부터 추진된 '제주사파리월드' 조성 사업의 변경안이다.
㈜도우리(대표 문현봉)가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산1번지 일원 74만4480㎡에 △곶자왈광장 △카페승강장 △공방마을 △테우리 △지역생태연구센터 △다실 △숲속 푸드코트 △숲갤러리 △컨퍼런스홀 △글램핑시설 △숙박시설 조성을 추진중에 있다. 총사업비는 714억원, 사업기간은 승인일로부터 3년이다.
당초 (주)바바쿠드빌리지(현 도우리)가 1500억원을 투입,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중산간 지역 99만㎡(동복리 마을 소유 73만8000㎡·제주도 소유 25만2000㎡) 부지에 동물원과 숙박시설, 공연장을 조성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환경훼손과 공유지매각 논란이 불거지자 면적을 줄이고, 사파리를 제외한 자연체험사업으로 바꿨다.
하지만 사업예정지가 속한 구좌읍 동복리 주민과 사업 예정지와 맞닿은 조천읍 선흘1리 주민 및 환경단체 등은 사업추진계획이 밝혀진 후 찬성과 반대로 나뉘어 첨예하게 대립했다.
조천읍 선흘1리에는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람사르습지인 동백동산이 있다. 선흘곶자왈에 속한 동백동산은 지하수 함양률이 높고,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백동산은 사업부지로부터 200여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환경훼손 논란이 일었다.
이 외에도 사업 초기 단계부터 갖가지 논란이 불거졌다.
2017년에는 제주도 투자유치과에서 ‘사파리월드 조성사업’ 의혹 규명을 위해 공청회를 요청한 주민 50여명의 명단을 주민동의 없이 사업자 등에게 넘기면서 ‘주민 개인정보 유출’ 논란 사건이 있었다.
지난 5월 말에는 사업을 추진하려는 찬성측 마을회와 이에 반대하는 환경단체간의 '자연체험파크 임대차계약' 진실 공방이 벌어지기도 했다.
지난 7월에는 제주도 자치경찰단이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제주자연체험파크 조성사업 사업시행사와 이 사업시행사 건설단장 A씨를 검찰에 불구속 송치하기도 했다. 제주도로부터 사업시행 승인을 받지 않고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에 있는 사업 부지 중 약 9만7000㎡에서 무단벌채 행위를 한 혐의다.
지난 8월에는 당시 강원도청에 근무중인 공무원이 사업의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사업부지 내 동굴조사 용역에 책임연구원으로 참여한 것이 본지 단독보도로 드러나면서 용역결과에 대한 신뢰도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다.
아울러 전 세계에서 제주 선흘곶자왈 일대에서만 자생한다는 멸종위기종 '제주고사리삼'의 군락지가 사업부지내 있다는 것으로 알려져 도내 환경단체가 이를 비판하기도 했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