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 제주시 갑 선거구는 세대간 지역간 후보 지지도 격차가 뚜렷했다. 20·30대와 중도 성향 부동층이 상대적으로 많아 이들을 누가 얼마만큼 끌어들이느냐에 따라 선거 승패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제이누리와 미디어제주·제주투데이 등 제주지역 인터넷언론 3사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케이엠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지난 30~31일 제주시 갑 선거구 만 19세 이상 유권자 500명을 대상으로 1대1 전화면접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4.4% 포인트, 응답률 21.0%)를 실시한 결과 민주통합당 강창일 후보가 38.0%를 얻어 새누리당 현경대(34.4%) 후보를 3.6%포인트 앞섰다.
옛 제주시에선 강창일(37.9%) 후보와 현경대(37.1%) 후보가 초박빙 승부를 펼치고 있다.
특히, 현 후보 출신지이자 제주시 갑 읍면동에서 유권자가 가장 많아 승부처라 할 수 있는 노형동에서 두 후보 지지율은 38.0%로 똑 같았다.
삼도1·2동·오라동·용담1·2동 등 구도심 권에선 현 후보가 우세 또는 경합 우세를 보였고, 신도심 권인 연동과 서부지역인 외도·이호·도두동에선 강 후보가 앞섰다.
한림·애월·한경·추자 등 옛 북제주군에선 강창일 후보가 38.3%를 얻어 현경대(26.6%) 후보를 11.7%포인트 앞서 농어촌 지역에선 강 후보가 우세를 보이고 있다.
무소속 장동훈·고동수 후보는 옛 제주시 지역에서 각각 6.2%, 3.5%를 얻었으며 옛 북제주군에선 지지율이 각각 10.9%, 1.6%로 조사됐다.
지역별 지지도를 보면 삼도1·2, 오라동에선 현경대(45.5%) 후보가 강창일(33.3)% 후보를 12.2%포인트 앞섰다.
용담1·2동에서는 현경대(39.3%) 후보와 강창일(37.5%) 후보 간 격차는 불과 1.8% 포인트다.
연동에선 강창일(38.0%) 후보가 현경대(31.5%) 후보를 6.5%포인트 앞섰다.
현 전 의원의 출신지인 노형동에서는 두 후보 지지율이 38.0%로 똑같았다. 지난 20일 여론조사에선 강창일(37.4%) 후보가 현경대(28.0%) 후보를 9.4%포인트 앞섰지만 이번 조사에선 현 후보 지지율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이 지역에서 도의원을 지낸 무소속 장동훈 후보는 지난 20일 조사 당시 13.1% 이었으나 이번 조사에선 7.4%로 주저 앉았다. 장 후보 지지층 일부가 현 후보로 돌아선 것으로 분석된다.
옛 북제주군은 강창일 후보가 전 지역에서 우세 또는 강세를 보였다.
지난 20일 조사에선 장동훈 전 도의원 출신지인 한림읍에서 강창일(40.0%) 후보와 장동훈 후보(37.8%)와 박빙이었지만 이번 조사에선 강창일(33.3%), 현경대(23.8%), 장동훈(16.7%) 순이었다. 현 후보가 8.2%포인트 상승했다.
애월읍은 강창일(38.7%) 후보가 현경대(29.0%) 후보를 9.7%포인트 앞섰다.
강 후보는 출신지인 한경면에서 44.4%를 얻어 현경대(27.8%)를 16.6%포인트 앞섰다.
하지만 지난 20일 조사 당시보다 강 후보는 11.2%포인트 하락한 반면, 현 후보는 5.6%포인트 상승했다.
연령별 조사에선 민주통합당 강창일(60) 후보가 20~40대에서 우세를 보인 반면, 50대와 60대 이상에선 새누리당 현경대(73) 후보가 앞섰다.
강창일 후보는 20대와 30대, 40대에서 각각 55.1%, 45.0%, 41.8%로 가장 높은 지지율을 얻었다. 반면 현경대 후보는 각각 16.7%, 21.1%, 30.3%에 머물렀다. 40대의 경우 지난 20일 조사 당시 현 후보는 21.3%에 그쳤지만 이번 조사에서 9%포인트 상승한 점이 눈길을 끈다.
40대 지지율에서 40대인 무소속 장동훈(47) 후보가 지난 20일 22.0%를 얻어 2위를 달렸지만 이번 조사에선 9.0%로 급락했다. 현 후보가 장 후보 지지층을 흡수한 것으로 보인다.
현경대 후보는 50대와 60대 이상에서 각각 48.3%, 54.8%를 얻어 강창일(27.6%, 22.1%%)보다 크게 앞섰다.
부동층은 20대(23.1%)와 30대(20.2%)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성별 조사에선 남성은 강창일 후보를, 여성은 현경대 후보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지지도에서 강창일 후보는 44.4%를 얻어 현경대(30.4%) 후보를 14.0%포인트 앞섰다. 반면, 여성 지지도에선 현경대 후보가 38.4%를 얻어 강창일(31.6%) 후보를 6.8%포인트 앞섰다.
정치 성향별 조사에선 진보층과 중도층은 민주통합당 강창일 의원을 지지한 반면, 보수층은 새누리당 현경대 후보를 선호했다.
자신을 보수적이라고 응답한 사람 가운데 58.2%는 현경대 후보를 지지한 반면, 강창일 후보를 꼽은 응답률은 22.0%에 그쳤다.
반면, 진보층은 강창일 후보가 55.7%로 현경대(16.1%) 후보를 훨씬 앞섰다.
중도층 지지도는 강창일 39.6%, 현경대 24.9%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 중도성향 유권자의 부동층은 27.8%로 보수층(10.4%)과 진보층(13.4%)보다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