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 위기에 놓인 부산~제주 뱃길을 유지할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고 부산일보가 28일 보도했다.
이 바닷길에서 카페리선이 완전히 끊길 경우 부산과 제주를 오가는 해상 여객 및 화물 수송에 차질이 빚어져 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새 사업자 물색 작업도 진척 없어 '발만 동동'
"폐쇄 현실화되면 화물 수송 등 대혼란 불가피"
부산지방해양항만청은 지난 21일 부산 동구 좌천동 부산해양항만청 국제회의실에서 '부산~제주 항로 여객선 운항중단 관련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부산시와 제주도, 부산항만공사(BPA), 한국해운조합 부산지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그러나 이날 회의에서는 뾰족한 대책이 나오지 않았다.
부산해양항만청은 동양고속훼리㈜와 ㈜카훼리코리아나의 여객운송면허 반납으로 오는 6월부터 부산~제주 항로의 여객선 운항이 완전히 중단되는 사태가 우려된다며 기관별 협조를 요청했다. 먼저 부산시와 제주도에는 항로 경쟁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도움을 구했다. 더불어 부산~제주 여객선 운항사업에 새롭게 참여할 사업자를 찾는 데도 힘을 모아보자는 뜻을 전했다.
특히 제주도에는 사용 경쟁이 치열한 제주항 여객선석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 부산과 제주 바닷길을 잇는 여객선 유치에 걸림돌이 되지 않게 해달라고 별도로 당부했다.
부산해양항만청은 BPA에도 항로 유지를 위한 지원대책 및 대응방안 마련을 요청했다.
한국해운조합 부산지부에는 새 여객사업자 참여를 위한 업계 독려 등의 역할을 요구했다.
부산해양항만청은 "지방자치단체와 관계 기관의 지원방안 마련 등 적극적인 의지와 협조가 없으면 부산항에 유일하게 남은 연안 여객항로 폐쇄가 현실화될 수밖에 없다"면서 "뱃길이 끊기면 부산과 제주 지역 관광객 및 화물 수송에 차질이 빚어져 큰 혼란이 우려된다"고 걱정했다.
하지만 이 같은 우려에도 지자체와 관계 기관들은 이날까지도 구체적인 지원방안 등의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기존 여객선사를 대체해 새롭게 뛰어들 사업자 물색 작업도 크게 진척이 없다.
부산해양항만청 관계자는 "항로에 관심을 보이며 문의를 해오는 선사가 몇 있긴 하지만 실제 선박을 투입하기까지는 많은 절차와 단계를 거쳐야 해 아직은 아무것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부산해양항만청은 뱃길을 계속 이을 선사가 구체화되지 않을 경우 다시 관계 기관 회의를 열어 대책을 모색한다는 계획만 세워두고 있을 뿐 다른 뚜렷한 방안은 찾지 못하고 있다.
앞서 부산~제주 항로를 운항하고 있는 동양고속훼리㈜와 ㈜카훼리코리아나는 최근 여객운송면허 반납 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부산항에서 마지막 남은 연안여객선 코지아일랜드호(4천388t)는 오는 5월 말까지만 운항한 뒤 이 항로에서 철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