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흑우의 산업화 연구를 위한 '축산물 고품질생산관리 연구센터'가 10일 제주대에서 출범식을 가졌다. 센터는 제주대 공동실험실습관 4층에 위치해있다.
이날 행사에는 허향진 제주대 총장, 이상길 농림수산식품부기술기획평가원장을 비롯해 농협 및 축산관련 기관 및 단체장, 흑우농가 등이 참석했다.
제주대는 '2015년도 농림축산식품 연구지원 센터 지원사업'인 축산물 고품질생산관리 기술개발 연구 사업에 '제주흑우의 대량증식 및 산업화'에 대한 과제가 선정돼 향후 최대 10년간 206억원을 투자해 제주 흑우 연구 사업을 할 수 있게 됐다.
박세필 센터장은 "이 연구에는 핵심 및 세부 연구기관 8개 팀이 참여한다"며 "제주흑우의 생산에서 유통까지의 산업 전주기적 기반기술과 융·복합 기술을 개발해 제주흑우 대량증식 및 산업화에 기여 할 것"이라고 말했다.
8개 팀은 제주대를 비롯해 제주축산진흥원, 서귀포시축협, 농협중앙회 축산연구원, 미래셀바이오, 천지영농조합법인, 영남대, 건국대다.
주요 연구과제는 ▲제주흑우의 증식▲첨단 BT적용기술 ▲육종·사양기술개발 ▲제품 브랜드 개발 및 산업화다.
센터 관계자는 "이러한 연구가 이뤄지면 제주흑우를 지역 및 국가 차원의 새로운 성장동력산업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제주흑우는 우리나라 고유의 품종으로 2012년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FAO)에 등록, 2013년 7월엔 국가지정 문화재인 천연기념물 제 546호로 지정됐다.
2013년 10월에는 슬로우프드 국제대회에서 '맛의 방주'에 등재되기도 했다.
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는 '제주흑우의 대량증식기술 및 산업화' 연구를 통해 제주에만 서식하는 멸종위기의 제주흑우 대량증식을 위해 세계 처음으로 복제수정란 초급속 냉·해동기법을 개발해 흑우 복제에 성공했다.
사후 복제된 제주흑우 씨암·수소로부터 송아지를 생산해 냄으로써 복제동물의 생식능력 검증, 우수 유전자원 종 보존과 대량생산 및 산업화 기반을 구축했다. [제이누리=김경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