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후보는 16일 정책브리핑을 통해 "소비패턴의 변화, 대형 슈퍼마켓의 진출 등으로 인해 중소상점을 중심으로 한 상업지역의 쇠퇴와 지역경제의 낙후 및 지역공동체 파괴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는 "지역상권을 둘러싼 경제생태계와 도시생태계가 건강하고 지속가능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1단계로 지역상권의 여건변화 및 국외 지역상권 관련 정책동향을 분석하겠다"고 설명했다.
김 후보는 이어 "2단계로 지역상권의 실태와 지역상권 정책효과의 시뮬레이션 분석, 3단계로 임기 내 지역상권 활성화 전략 및 지원방안을 도출하여 반드시 '순환과 공생의 지역친화형 상권 만들기'를 실현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는 또 "지역상권 활성화의 해결책을 지금까지와 같이 외부지원에서 찾기보다는 지역내부에서 찾아야 한다"며 "지역상권을 구성하는 요소들간의 관계와 바람직한 생태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내부역량을 극대화하는 방향에서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특히 "지역상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따라 규모 있게 상권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제이누리=김경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