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문화원은 지난 5월부터 10월까지 지역 어르신 20여명을 대상으로 ‘전통생활문화 지도만들기’ 조사팀을 모집해 제주지역 옛 생활문화와 관련한 내용들을 조사했다.
조사내용은 주로 제주도 선인들의 생계활동 및 유희 등과 관련된 것들이다. 농기구, 고망낚시, 생이총, 횃불, 지디리·꿩 사냥 등의 유래와 방법, 얽힌 사연 등을 현장답사를 통한 구술증언을 모아서 기록했다.
제주문화원은 전문가에 의해 기술된 보고서는 아니지만 고령화사회에서 지역 향토사의 증인인 지역 어르신이 주체가 되어 발굴 조사한 것으로 어르신의 역할과 위상을 제고시키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했다.
이와 관련해 신상범 제주문화원장은 “대학 연구실의 연구진은 당시 사용했던 제주어를 이해할 수 없었을 것”이며 “지역 어르신들의 구술증언을 정확히 채록하기 위해 같은 연령대의 어르신들을 조사자로 참여시켰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문헌에 기록되지 않은 제주선인의 생활문화와 관련한 자료를 발굴하고 기록하는 작업을 계속 진행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제주문화원은 어르신문화학교 프로그램의 다른 한 과정인 ‘어르신들, 문화유적을 말하다’의 성과보고서도 출간했다.
이 성과보고서는 오문복 강사(한학자, 제주동양문화연구소장)의 제주지역 마애명과 제주의 성곽에 대한 개설서 성격도 갖고 있다.
제주문화원의 운영하고 있는 어르신문화학교는 문화체육관광부 후원과 한국문화원연합회 주최로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