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체제 개편에 대한 논의가 적절했는지, 행정시에 대한 기능과 권한 강화의 내용들을 세밀하게 들여다봄과 동시에 특별법 5단계 제도개선 과제의 적절성 여부, 이로 인한 지방재정부담 요인발생 여부도 소홀하지 않을 것이다. 특히 재원조달계획이 불확실한 상태에서 추진되어 온 사업, 사업타당성이 결여된 기관장의 업적 쌓기 공약사업 등을 면밀히 살펴 예산낭비 요인을 집중 추궁할 예정입니다.
한편, 민군복합항 건설과정에서 발생한 제주사회의 반목과 갈등, 4·3문제의 해결 등 현안사항에 대해서도 중앙의 논리가 아닌 도민의 목소리에 초점을 맞춰 집행부의 각성을 촉구하고 정책적 대안을 제시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행정자치위원회는 정책추진 주체인 공무원을 대상으로 패널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주의 주요 현안과 정책에 대해 공무원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특히 공무원 청렴과 행정윤리에 대한 부분을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아울러 행정체제 개편 추진과정의 문제점 등도 지적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