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2024년 조수입 5조2142억원 ... 밭작물 처음 1조원 돌파, 전년보다 27.8% 증가

 

제주도 1차산업 조수입(필요한 경비를 빼지 않은 수입)이 처음으로 5조원을 돌파했다.

 

제주도는 지난해 제주 농수축산업 조수입이 전년보다 4.8% 증가한 5조2142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고 4일 밝혔다.

 

분야별로 보면 제주농업의 중심축인 감귤산업은 조수입 1조313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0.9%(118억원) 감소했다. 하지만 이상기후로 인한 생산량 감소와 소비 침체 등의 여건에도 2년 연속 1조3000억원대를 유지했다.

 

품목별로는 노지온주가 6568억원으로 3.7%, 월동온주가 1123억원으로 7.3% 각각 늘었다. 반면 만감류는 4.9% 줄어든 4512억원, 하우스온주는 17.5% 줄어든 927억원을 기록했다.

 

그 외 참다래, 블루베리 등 18개 기타 과수 품목의 조수입은 1014억원으로 전년보다 15.9% 증가했다. 과일 고급화에 따른 단가 상승과 함께 석류·리치·복숭아 등 신규 품종 도입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밭작물 조수입은 전년보다 27.8% 증가한 1조814억원으로 처음 1조원을 돌파했다. 파종기 고온 현상과 생육기 잦은 강우, 일조량 부족 등 악조건 속에서도 행정당국·제주농산물수급관리연합회·품목단체·농협이 유기적으로 협력했으며, 특히 월동채소 분산 출하를 통한 수급 조절과 유통채널 다변화, 소비 촉진 마케팅 협업사업 등이 주효했다고 도는 분석했다.

 

 

축산업 분야는 조수입이 1조3887억원으로 전년보다 4% 늘었다. 축산물 생산·거래량 증가에 따른 한우산업(12.6% 증가)과 낙농산업(26.6% 증가)의 성장이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다만 이상기온 현상 등에 따른 지속적인 꿀벌 피해로 양봉산업은 16.1% 줄었다.

 

수산업 분야는 조수입이 1조3297억원으로 전년보다 4% 감소했다. 수산물 가공업은 562억원으로 21% 증가하고, 양식어업도 3878억원으로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기후 위기에 따른 갈치·고등어 어획 감소로 어선어업은 7%(350억원) 감소했다. 마을어업은 소라, 성게, 우뭇가사리 등 생산이 줄어 21%(40억원) 감소했다.

 

김형은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1차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분야별 특화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농수축산업 경쟁력 강화를 통해 농어가 소득을 안정시키고 지속 가능한 1차산업 기반을 다져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