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태원이 제주 곶자왈 지역에 30m 높이의 기후관측타워 설치를 추진하면서 환경단체들이 생태 훼손과 경관 파괴를 우려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국립생태원 생태계 기후대응 표준관측망 사업 예정지 내 곶자왈의 장면이다. [곶자왈사람들 제공]](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730/art_17531394431862_bf0364.jpg?iqs=0.3109072370354182)
국립생태원이 제주 곶자왈 지역에 30m 높이의 기후관측타워 설치를 추진하면서 환경단체들이 생태 훼손과 경관 파괴를 우려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국립생태원은 22일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곶자왈 일대에서 '생태계 기후대응 표준관측망 구축' 착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공사에 나설 예정이다. 해당 사업은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를 장기적으로 관측하기 위한 구조물 설치가 핵심이다.
그러나 제주지역 환경단체들은 곶자왈 고유의 생태·지질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사업 추진이라며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곶자왈사람들, 제주참여환경연대,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 21일 공동 성명을 통해 "사업 부지는 제주도 보전지역 관리조례상 생태계 2등급 지역으로, 토지 형질 변경이 제한되는 곳"이라며 "숨골 지형 등 곶자왈 특유의 지질학적 가치와 인근의 새우난초·가시딸기 등 보호종 서식지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실제 사업 예정지는 함몰지 형태의 숨골이 분포해 있다. 주변에는 제주도 보존자원으로 지정된 식물과 희귀종 군락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단체들은 국립생태원이 이들 보호종에 대한 정밀조사나 생태 대책 없이 사업을 강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경관 훼손 우려도 제기된다. 사업지 인근은 백약이오름, 좌보미오름, 동거문이오름 등 도민과 관광객이 즐겨 찾는 조망지점과 인접해 있으나 국립생태원이 실시한 경관 시뮬레이션은 오름이 아닌 도로변과 묘지 주변으로 한정돼 있어 핵심 조망권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들은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사업의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곶자왈의 생태적, 지질학적 가치를 훼손하면서까지 추진할 이유는 없다"며 "국립생태원은 착공을 중단하고, 주민과 전문가가 참여하는 합리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