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지질자원연구원, 지진 발생 3분 뒤 수위 3~192.4㎝ 변동 확인

【Joins=뉴시스】지난해 일본 대지진으로 제주도 지하수가 출렁거린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효숙)은 하규철 박사팀이 지난해 3월 일본서 있었던 지진때 지진파 변동과 비슷한 패턴으로 제주도 지하수위가 변동된 것을 관측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제주도 지하수 관측공에 자동수위관측기를 이용, 1분단위로 변동을 측정해 높은 정확도에서 지진파와 지하수위의 상관관계를 밝혀냈다.

 

연구팀은 지하수질 변동을 알 수 있는 온도와 전기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규모 9.0인 동일본 지진 발생 3분 뒤 제주도 지하수위가 3~192.4㎝가 변동된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또 지하수질 변동도 관측해냈다.

 

15개 관측소 중 9개 관측소에서 0.01℃에서 1.2℃의 온도변화가 있었고 3개 관측소에서 지하수 전기전도도 변화가 20μS/cm에서 35,500μS/cm로 관측됐다.

 

이런 수질변화는 지진에 의해 서로 다른 수질이 혼합돼 발생한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하고 있다.

 

진앙지와 제주도까지 거리는 약 1500㎞로 이번 연구를 통해 먼 거리 해외 지진이 국내 지하수 변동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입증됐다.

 

이와 함께 연구원은 2010년 6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진발생 시에도 제주도 지하수위가 변동됐다고 밝혔다.

 

규모 7.7인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진의 경우 지진 발생 약 10분 후에 제주도 지하수위는 지진파와 비슷한 진동형태로 변동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변동 수위는 1.4㎝에서 2.4㎝ 범위였다.

 

인도네시아 지진 진앙지와 제주도는 약 4600km 떨어져 있다.

 

지질자원연구원은 이 연구결과는 지진 발생시 대규모 댐, 원자력 발전소 등 주요 국가 안전시설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반안전성, 지하수 오염 등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 박사는 "이 연구는 지하 암반 투수성 등 수리지질 조건의 변화를 관측하는 지진예측 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면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지진에 따른 지하수 변동 관련 연구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