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가 탑동 앞바다를 뒤덮는 초대형 신항 개발계획에 대한 경제성 검토에 착수했다.
제주도는 ‘제주항 개발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을 수행할 업체 선정과정에 착수했다고 2일 밝혔다.
용역기간은 착수일로부터 10개월, 사업금액은 11억1730만원이다.
제주신항만 건설은 초대형 크루즈와 여객부두 일원화를 통해 연간 400만명의 관광객을 수용하는 해양관광 허브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는 사업이다.
오는 2040년까지 모두 2조8662억원을 투입, 제주시 삼도동과 건입동, 용담동 일대 해안에 건설될 계획이다. 사업비 중 국비는 1조8245억이다. 2.82km 크기의 방파제 및 2.09km의 호안 등 외곽시설과 크루즈 4선석, 여객 9선석의 접안시설, 82만3000㎡ 면적의 항만 배후부와 도로 등이 이번 사업에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탑동 앞바다에 128만3000㎡ 면적의 초대형 신항만이 들어서는 것이다. 이는 마라도 면적의 4배에 달하는 것으로 현재 탑동 앞바다는 더 이상 바다가 아니라 모두 육지로 변하게 된다.
하지만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THAAD·사드) 배치 및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크루즈 관광수요 감소로 경제적 타당성이 떨어진다는 우려가 나왔다.
이에 따라 경제성과 정책적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계획수립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도는 이번 용역을 통해 여객선석만 먼저 개발하는 방안을 포함해 크루즈 선석 축소 및 방파제 규모·위치 변경 등 여러 시나리오를 두고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 따져볼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존 기본계획에 대한 개발 단계 조정, 예타조사 요청시기 판단 등도 도출할 계획이다.
한편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 9월16일 제주를 방문해 제주신항 개발현장을 점검하면서 “대외여건 변화에 따른 크루즈 수요감소로 제주신항의 개발이 다소 지연됐으나 향후 여건 조성시 개발이 추진될 수 있도록 사업계획 보완, 타당성 조사 등 사전검토와 준비를 철저히 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