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곶자왈사람들 "사업 과정에서 훼손 심각 ... 추가 작업로 개척도 문제"

 

제주도가 추진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사업' 과정에서 곶자왈이 심각하게 훼손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단법인 곶자왈사람들은 26일 성명을 내고 “제주도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로 인한 곶자왈 훼손의 근본적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지난 14일부터 16일 동안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서귀포시 제주영어교육도시 사업장의 방제 명령을 받고 약 60여 그루의 감염목을 제거했다”며 “포크레인 등 장비를 이용해 이뤄진 작업 과정에서 곶자왈이 심각하게 훼손됐다”고 주장했다.

 

곶자왈사람들은 “작업로를 새로 만들면서 종가시나무, 단풍나무 등을 베어냈고 하부식생은 장비 바퀴에 깔리면서 형체조차 확인할 수 없었다”며 “지난 3월에도 선흘리 등 동부곶자왈 지역의 방제과정에 40여 곳이 넘는 멸종위기종 제주고사리삼 자생지가 훼손되는 일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단체는 “제주도는 곶자왈에서 재선충병 방제시 기존에 만들어진 작업로를 이용해 포크레인같은 장비 사용을 허용하고 있다. 문제는 기존 작업로에서 추가 작업로를 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행정시에서는 작업을 하는 사업체에 주의를 주고 있지만 현장에서 그대로 시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사업체가 바뀌면 더 그렇다”며 “행정시의 방제업무 담당자가 바뀌면 훼손이 반복해서 발생한다. 장비 사용 여부는 담당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고 주장했다.

 

곶자왈 사람들은 “이런 점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던 곳에서 훼손이 반복해서 일어나고 있다”며 “제주도는 재선충 방제에 따른 곶자왈 훼손을 막기 위해 지금처럼 방제업무 담당자나 사업체가 바뀔 때마다 달라지는 대책이 아닌 누가 언제 하더라도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관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소나무재선충병은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가 신초를 후식할 때 소나무재선충이 나무 조직 내부로 침입, 빠르게 증식해 수분과 양분의 이동을 방해하며 나무를 시들어 말라 죽게 하는 병이다.

 

제주도 전체 면적의 약 6.1%를 차지하는 곶자왈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열대 북방한계 식물과 한대 남방한계 식물이 공존하는 제주의 독특한 숲 또는 지형을 일컫는다. 풍부한 지하수 생성지대이자 다양한 식물로 인해 ‘제주의 허파’라고 불리고 있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