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미국은 제주4·3 참화에 대한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운가?
허호준 한겨레신문 기자가 4·3과 미국의 관계를 본격적으로 조명한 연구서를 펴냈다.
제주4·3평화재단의 ‘2020년 학술연구지원사업’에 선정되기도 한 책 「4.3 미국에 묻다」는 4·3의 전개과정에 있어 미국의 직·간접적 개입 수준을 밝히려는 시도다.
저자는 이 책에서 "미국은 왜 4·3을 주목하고 관심을 가졌는가. 미국의 직·간접적 개입의 정도는 어떠했는가" 등을 묻고 답한다. 세계적 냉전이 어떻게 제주도까지 영향을 끼쳤는지부터, 미군정과 미군사고문단 등으로 대표되는 미국이 4·3의 전개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게 된 과정 등을 담아냈다.
이 책에는 해방 직후 패망 일본군의 제주도 자치기구 결성운동을 경고하는 문서, 제주도에서 미군과 일본군 사이에 체결된 영문과 일문으로 된 항복문서, 1948년 5월 5일 제주도에서 군정장관 딘(Dean) 소장 등이 참석한 제주도 현지 회의 신문기사 등도 발굴해 소개했다.
신문기사는 당시 제11연대장 작전참모가 군정장관 딘 소장과 조병옥 경무부장이 ‘무차별 사살 명령’을 내렸다는 내용이다.
저자는 “미국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에는 미군정의 형태로 직접 개입을, 이후에는 군사고문단이나 미사절단 등의 이름으로 직·간접 개입을 통해 토벌을 조장했다”며 “미국의 개입을 연구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다”고 밝혔다.
저자는 30여년간 제주주재 기자로 지내며 취재활동과 더불어 석·박사 학위 논문, 각종 사료 분석을 통해 ‘4·3과 미국’의 관계를 조명하고 분석했다. 이번에 출간된 '4·3, 미국에 묻다'는 제주 4·3연구소의 미국자료집 출간(2000)을 주도, 사건 내 미국의 역할을 파고들어 연구해 온 저자의 치열한 자료 추적의 결과물이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