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 4.11 총선 서귀포시 후보로 김재윤 의원을 전략공천하자 탈락자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일부 후보는 탈당 수순을 밟고 있다.
문대림 예비후보(전 제주도의회 의장)는 “이번 중앙당이 발표한 공천 결과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며 26일 중앙당 공직선거후보자추천재심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했다.
문 예비후보는 “이번 공천 발표는 서귀포시 시민들의 민의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모든 기득권을 버리고 이번 총선과 대선을 축제와 승리의 분위기로 만들기 위해 민주통합당이 도입한 국민참여 경선 취지에도 맞지 않은 결정”이라며 “공심위가 전략공천 이유로 밝힌 현격한 경쟁력 차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문 예비후보는 이어 “경쟁력을 갖춘 후보들의 참여를 원천봉쇄시키는 것이 아니라 변화와 혁신, 소통을 통한 총선승리를 위해 경선을 통해 합리적인 공천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대림 예비후보와 연대를 모색했던 고창후 예비후보(전 서귀포시장)는 연대 결렬을 선언하고 27일 오후 1시 서귀포시청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거취를 밝힌다.
중앙당에 재심 청구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내놓을 수 있는 카드는 '탈당 무소속 출마'와 '불출마' 두가지로 압축된다. 문대림 예비후보와의 후보 단일화와 무소속 출마 카드도 배제할 수 없다.
고 예비후보는 “중앙당 공천 결정은 서귀포시민을 우롱한 처사”라며 “재심절차는 요식행위에 불과하며 받아들일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해 청구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고 예비후보는 “이번 공천결과는 서귀포시민의 민의를 저버린 밀실 공천이며, 민주통합당 창당정신에 반하는 공천심사위원회의 폭거라고 생각한다”며 “이러한 공천결과에 분노하는 서귀포시민의 민의를 문대림 후보와 함께하기 위해 25, 26일 이틀간 실무협상단을 꾸려 연대협의를 진행 했지만 성과 없이 끝났다”고 밝혔다.
고 예비후보는 이어 “하지만 문 후보와의 연대를 모색하고자 하는 의지는 남아있다”며 “27일 오후 1시 서귀포시청에서 공식 기자회견을 갖고 앞으로의 입장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양윤녕 예비후보(전 민주장제주도당 사무국장)도 "국민경선 없는 단독후보 공천은 이해할 수 없으며 승복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그는 "김재윤 예비후보의 3억원 수수는 법적으로는 무죄이나 서귀포시민은 도덕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며 "지역구의 국민적 현안인 제주해군기지 건설문제는 수수방관하다가 총선을 앞둔 시점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고 또한 경빙사업은 충분한 도민의사수렴과정 없이 입법해 놓고 이제는 자신의 뜻이 아닌 것처럼 이중 플레이를 하고 있다"고 김재윤 의원의 도덕성을 문제삼았다.
그는 "이런 정치행태에 대해 국민경선과정에서 의정활동과 도덕적 문제를 반드시 서귀포시민으로부터 검증 받아야 했다"며 "정치는 생물이다. 국민경선 없는 단독후보공천은 민주통합당을 지지했던 서귀포시민의 민심은 역풍 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