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지사는 또 민.군복합형 관광미항사업은 제주발전과 국가안보를 위해 진행 중인 사업으로, 대통령과 함께 먼 훗날 역사의 책임을 질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우 지사는 이날 오후 제주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23일 오후 국무총리실에서 임종룡 국무총리실장을 만나 해군기지 건설과 관련한 의견을 나눴다며 이 같이 전했다.
우 지사는 임 실장에게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 4주년 특별기자회견에서 제주 해군기지에 대해 언급하면서 민ㆍ군 복합형 관광미항이라는 표현을 단 1차례도 사용하지 않은 점을 들어 정부 정책에 변화가 있는지를 물었다고 했다.
해군기지에 15만t급 크루즈 선박 2척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정부의 약속에 어긋남이 없는지에 대해 확인을 요구한 것이다.
이에 임 실장은 과거 정책을 인용하다 보니까 그렇게 됐고 해군기지와 관련한 정책의 변화는 없다는 답변을 했다고 우 지사는 전했다.
우 지사는 "임 실장과 주고받은 구체적인 대화 내용은 정책의 혼란을 최소화하는 차원에서 말할 수 없다"며 크루즈 입ㆍ출항 기술검증위원회가 제시한 의견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는 현재 결정된 바 없다고 강조했다.
정책방향과 사업 내용에 대해 어떠한 것도 정해진 것이 없다고 전했다.
그는 복합형 관광미항이 완공되면 세계적인 크루즈 선사들이 15만t급 크루즈선이 이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려고 사전 답사할 것이라며 이 사업은 제주지사뿐만 아리나 대통령도 역사의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우 지사는 기술검증보고서를 통해 제주도의 의견이 객관적 타당성을 인정받았고 밝혔다.
그는 기술검증에 필요한 시뮬레이션은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도의회와 정책 협의를 거쳐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주요 정당과 정치인들도 문제 해결의 관점에서 구체적이고 현실 가능한 대안들을 제시해 줄 것을 부탁드린다"며 당부했다.
그는 또 "해군기지 건설 문제는 '당사자 해결의 원칙'이 적용돼 사실이 왜곡되지 않아야 한다"며 "제주도 외부에서 온 분들은 활동을 자제해 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