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영어교육도시를 자치시로 만들자는 의견이 나왔다. 자치권을 부여하자는 주장이다.
제주도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오대익 도의원은 18일 속개된 제347회 제주도의회 제2차 정례회 도정질문 자리에서 “제주도 차원에서 영어교육도시의 정주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 의원은 “현재 영어교육도시는 구억·보성·신평리 등 3개의 리로 구성돼 있다”며 “통·반이 구성 될 수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영어교육도시를 하나로 통합해야 함에도 마을이 갈라져 있어 주민들을 통제하기 힘들다”며 “이는 상당한 과제다. 이를 어떻게 할 것이냐”고 물었다.
이에 원 지사는 “특구 개념으로도 갈 수 있을 것 같다”며 “특례를 만드는 것도 문제가 되지 않을 듯 하다”고 답변했다.
오 의원은 “가장 필요한 것은 소통”이라며 “현재 영어교육도시 주민들은 자치시가 되길 바라고 있다”고 피력했다.
이어 “그러나 대정읍은 영어교육도시를 껴 안고 살길 바라는 마음일 것”이라며 “이를 소통으로 협치를 이끌어 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 의원은 자치시장의 필요성도 시사했다. 오 의원은 “앞으로 2만 명이 더 들어올 것”이라며 “자치시가 된다면 자치시장도 임명해야 한다. 만약 자치시장이 어렵다면 명예시장은 어떠냐”고 물었다.
오 의원은 “이젠 학교 유치를 위한 명예시장이 아닌 행복한 영어교육도시를 만들기 위해 명예시장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의원은 “주민자치센터를 설치해야 한다”며 “그러나 현 조례에 의하면 영어교육도시는 읍·면·동이 아닌 3개의 리이기 때문에 설치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주민센터가 만들어지면 주민자치위원회도 따라서 만들어 진다”며 “주민자치위원이라도 둬서 독립돼야 하는 것 아니냐”고 덧붙였다.
원 지사는 “주민센터 설립 취지를 반대하지 않는다”며 “행정 분리 없이도 가능한 지, 조례 특례만 만들면 되는 지 등을 검토해 보겠다. 게다가 조례 제·개정은 도의회의 권한”이라고 동조했다. [제이누리=박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