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insMSN=연합뉴스] 이명박 대통령이 최근 정치 상황과 관련, '정면돌파' 승부를 통해 집권 후반기 국정운영 장악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가다듬고 있다.
이 대통령이 22일 '집권 4주년 특별기자회견'에서 정치권의 대중영합주의(포퓰리즘)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비롯한 주요 국가정책에 대한 야권의 말 바꾸기에 정면 대응할 것이라고 청와대 측은 19일 밝혔다.
최근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과 김효재 전 정무수석비서관 등이 각종 비리에 연루된 의혹으로 사퇴하면서 애초 기자회견이 '대국민 사과'가 중심이 될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었다.
하지만 청와대 내부에서는 회견의 초점이 사과에 맞춰질 경우 앞으로 가뜩이나 지지율이 떨어지면서 위축된 청와대가 더욱 수세에 몰리면서 '무기력한 정권'으로 전락하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팽배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회견에서는 잇단 친인척ㆍ측근 비리 의혹에 대해서는 진솔하게 해명하고 사과를 하되, 국가의 명운이 걸린 사안은 직접 설명하고 국민의 판단을 기다리겠다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대통령은 4월 총선을 겨냥한 정치권의 포퓰리즘이 도를 넘어섰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예컨대 일부 국회의원들이 추진 중인 부산저축은행 특별법 등이 당장 표를 얻는 데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재정에 영향을 미치고 헌법 정신의 근간을 훼손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한미 FTAㆍ제주 해군기지건설 반대에 대한 입장도 마찬가지다.
노무현 정부 때부터 추진했던 사안을 정권이 바뀌었다고 해서 180도 태도를 바꾸는 것은 무책임할 뿐만 아니라 국가의 미래를 위태롭게 할 수 있다는 게 이 대통령의 인식인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4월 총선을 '미래 대 반(反)미래'의 전선으로 끌고 감으로써 무차별적인 정치공세를 차단하겠다는 포석으로도 해석된다.
노무현 참여정부 때 한미 FTA 협상 과정에서 부총리 겸 재경부 장관을 지냈던 한덕수 주미대사를 최근 불러들인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한국무역협회장으로 추대된 한 전 대사에게 한미 FTA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새로운 임무를 맡김으로써 FTA논란에 종지부를 찍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는 것으로 관측됐다.
나아가 이 대통령은 앞으로 국정 현안에 대해서도 적극 목소리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14일 국무회의에서도 장ㆍ차관을 전부 소집해 "공직자들이 중심을 잡고 일해주기를 바란다"며 선심성 공약 및 법안에 적극 대처할 것을 주문한 바 있다.
청와대 관계자가 "일하는 정부를 표방한 이 대통령이 임기 마지막 날까지 일하다 나가겠다는 각오를 그대로 실천할 것"이라고 밝힌 데서도 이 대통령의 이런 의지가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