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민사회단체가 초고층 빌딩 드림타워 시행사가 내놓은 교통개선 대책에 대해 ‘면피용’이라고 평가를 절하했다.
제주도내 17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제주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8일 성명을 통해 "현실적인 ‘교통개선대책’과 믿을 수 있는 ‘풍동실험 결과’ 없이는 ‘드림타워 조성사업’ 허가를 내주지 말것을 촉구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연대회의에 따르면 드림타워 사업 시행사인 (주)동화투자개발(대표이사 박시환)가 지난 달 30일 제주시를 거쳐 제주도에 ‘드림타워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 수립 2차 변경심의 처리계획’을 제출했다.
드림타워 '교통개선대책 2차 계획' 을 살펴보면 드림타워와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총 4건의 도시계획도로 개설에 따른 공사비 중 약 78억원의 교통개선부담금을 내겠다는 것과 대형버스 주차면을 20대로 늘리는 것 등이 골자다.
연대회의는 "동화투자개발이 지난번 1건 36억원 부담에서 4건 78억원 부담으로 증액했다고는 하지만 총공사비가 어림 잡아 780억 정도라고 보면 여전히 10%에 머무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며 드림타워로 인한 교통혼잡 분산을 위해 700억원의 도민 혈세가 지출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대회의는 "동화투자개발이 밝힌 드림타워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사회적 손실에 비하면 대책이라고 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드림타워의 문제는 입지와 규모, 성격 자체의 문제이지 얼마를 더 낸다고 해결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연대회의는 이어 "초속 30m 이상의 강풍과 윈드시어(돌풍)가 자주 발생하는 제주의 지정학적, 환경적 사항을 고려하면 누구나 믿을 수 있는 제3의 기관에서 드림타워와 관련한 완벽한 풍동실험을 거쳐 그 결과를 제주도민에게 공개해 우려를 불식 시켜야 할 것"이라며 최근 도의회가 제기한 ‘드림타워 풍동실험 조작의혹’에 대한 정확한 검증도 요구했다.
연대회의는 "‘드림타워 조성사업’과 관련해 제주도의 건축교통통합 심의가 여러 문제점에 대해 심도있고 공정하게 다뤄져야 할 것"이라며 고 강조했다. [제이누리=이재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