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영리화를 반대하는 단체들이 집단행동을 선언하고 나섰다. 정부의 의료민영화 추진에 맞서 의료공공성 강화를 기하겠다는 의도다.
의료연대본부 제주지부 등 도내 26개 단체와 정당으로 구성된 ‘의료영리화 저지·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제주도민운동본부’는 7일 오전 11시 제주도의회 도민의방에서 출범식을 열었다.
도민운동본부는 "7일은 세계 보건의 날이다. 그러나 정부는 이명박 정권 이후 보건의료의 공공성 강화는 커녕 국민의 건강권을 재벌에게 팔아넘기기 위한 시도를 멈추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박근혜 정부도 취임 1주년 담화문에서 의료영리화와 민영화 강행을 분명히 했다"며 "주요 정책은 의료법인의 영리 자회사 설립허용·병원 인수합병 매각 허용·영리법인 체인약국 허용·원격의료 활성화 등이다"고 설명했다.
도민운동본부는 "이 같은 정책이 시행되면 의료비 폭등은 물론 건강보험 체계 붕괴와 민간 재벌의료보험에 대한 의존성, 전면적인 의료영리화·시장화가 심화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또 "의료는 공공성을 가질 수 밖에 없고 공공성이 무너지면 공동체를 지탱하는 근간도 흔들리게 된다"며 "의료영리화 정책이 시행되면 의료공공성은 실종되고 우리의 생명까지도 재벌자본이 좌지우지하게 되는 끔찍한 사회로 전락할 것이다"고 우려를 표했다.
도민운동본부는 이어 "지난 김태환 도정에서 영리병원을 허용하려 했으나 제주도민들이 한마음으로 맞서 싸워 결국 공공의료를 지켜냈다"며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모든 제주도민의 건강권이 보장받는 사회공동체를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의료민영화 반대운동은 지난달 11일 '의료민영화·영리화 저지와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범국민운동본부’ 출범을 시작으로 제주를 포함한 전국 10여개 시·도로 확대됐다.
도민운동본부는 7일부터 도내 곳곳에서 100만명 서명운동·집중 캠페인을 진행하고 SNS 전파·아고라 성명·의료영리화 반대 가정용 현수막 달기 등 각종 활동을 전개할 방침이다.
다음달 중에는 지방선거 출마 광역단체장 후보자 정책질의 답변서 발표 및 공론화, 언론기고, 국회 쟁점화에 맞춰 전국단위 운동본부와 연계한 선언문 발표, 촛불시위, 의료전문가 초청 강연회 개최, 제주 도심지 거리 대행진 등 대대적인 활동도 추진하기로 했다. [제이누리=강남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