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말쯤 방류될 예정인 남방큰돌고래 3마리 중 1마리가 가두리 양식장을 나와 바다로 빠져나갔다.
바다로 빠져나간 남방큰돌고래는 불법 포획돼 제주에서 돌고래쇼에 동원됐던 ‘D-38’.
돌고래 방류를 책임지고 있는 김병엽 제주대 교수에 따르면 D-38은 지난 22일 오전 11시쯤 제주 서귀포시 성산항 임시 가두리의 그물을 빠져나갔다.
D-38은 22일 오전 8시쯤 사육사가 돌고래들에게 먹이를 줄 당시만 해도 가두리 내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구원들에 의한 행동관찰 도중 오전 11시쯤 D-38이 가두리 밖에서 해초를 가지고 노는 장면이 목격됐다.
원인 파악에 나선 연구원들은 바다 속으로 들어가 확인한 결과 가두리 그물망 밑 부분에 30㎝가량의 구멍이 뚫린 것을 발견했다. D-38은 그 구멍을 통해 빠져나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구멍은 북상하다 소멸된 제4호 태풍 ‘리피(LEEPI)’의 간접 영향으로 발생한 거센 파도에 의해 생긴 것으로 보인다.
현재 잠수부들인 남은 2마리인 ‘제돌이’와 ‘춘삼이’의 이탈을 막기 위해 그물을 수리했다.
그런데 D-38은 이들 3마리 중 가장 훈련 상태가 좋았다. 먹이를 잡아먹는 수준이 야생 상태 수준과 비슷할 정도라고 한다.
김 교수는 “D-38은 3마리 개체 중에서 가장 호기심이 많았다. 항상 새로운 대상에 먼저 접근하는 경향이 강했다”며 “지난 돌고래 관련 심포지엄에서 전문가들이 상태를 봤을 때 당장이라도 내보내도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고 말했다.
따라서 현재 D-38은 야생상태에서도 생명에 지장이 없는 것은 물론 무리에 합류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는 분석이다.
김 교수는 “제주 연안에 돌고래 무리가 다니기 때문에 그 무리에 합류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오늘(23일) D-38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30~40마리 정도의 돌고래 무리를 확인해 동영상으로 촬영했다. 지느러미를 통해 그 무리에 있는지 확인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돌고래는 지느러미에 특징이 있기 때문에 동영상 분석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이미 D-38에 대한 지느러미 등 생태의 특징이 다 기록돼 있기 때문에 만일 합류했다면 확인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김 교수팀 등은 돌고래가 가장 많이 출현하는 제주시 구좌읍 일대 해안을 중심으로 D-38에 대한 추적을 하고 있다. 24일부터는 고래연구소도 추적에 합류할 예정이다.
한편 이들 돌고래는 당초 최종 방류지인 구좌읍 김녕 앞바다에 설치한 가두리로 옮길 예정이었다. 그러나 기상상태가 좋지 않아 오는 26일로 연기했었다.
현재 남아 있는 돌고래들도 야생성을 회복하고 있어 돌고래 방류 D-데이는 이달 말로 잡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