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개발공사가 3%의 수익을 위해 불신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공기업이라는 존재를 망각하고 수입에만 열을 올리는 형국이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는 14일 제305회 임시회 제1차 회의를 열고 도 개발공사가 제출한 ‘지하수 개발·이용시설 변경 허가 동의안’에 대해 심의를 벌였다.
의원들은 도내·외 판매용 삼다수의 띠를 구분 없이 동일화 시킨데 대해 오재윤 도 개발공사 사장을 비난했다.
먼저 신관홍 의원은 “도내·외 삼다수를 동일하게 했기 때문에 도민과 언론, 시민단체가 우려하고 있다. 왜 이러면서 증량 요청하느냐”며 그 이유를 따져 물었다.
그는 또 “띠를 통합시켰을 때 단가를 내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3% 돈이 얼마인지 모르겠지만 그 돈을 아끼려고 신뢰받지 못하는 공기업이 되면 30% 이득을 얻는 들 무슨 소용이냐”며 “수축필름을 입찰하면서 그거 하나 바라보고 살던 도내 기업이 어려움을 겪게 됐다. 제주지역 기업을 제대로 아우르지 않으면 아무리 이익이 나도 주민이나 도민들에게 다가가는 공기업이 될 수 없다”고 질타했다.
그는 또 “2011년 도외 판매량은 54만6000톤, 도내 판매량은 4만6000톤이었는데 지난해에는 도외 판매량이 47만7000톤, 도내 판매량이 9만3000톤이다”며 “왜 도내 판매량이 갑절 늘었느냐. 도내용이 도외로 반출된 것이다”고 따져 물었다.
그러면서 “공공기관이다. 불신이 있어선 안 된다. 왜 도민의 입장을 생각하지 않는가”라며 “반출을 종용하는 것이 아니냐. 여러분들은 멋대로 장사하겠다는 것”이라고 몰아붙였다. 아울러 “순이익 따지지 말고 불식시키려는 자구노력 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오 사장은 “걱정 끼쳐 죄송하다”고 말한 뒤 “경찰 조사에서 보면 도내 판매용 3만5000톤이 도외로 나갔다”며 “도내·외용을 혼합해서 팔겠다는 것이 아니다. 효율성이나 생산의 효율성, 가격의 단가를 높이기 위해 통일 시켜야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환도위는 ‘도내·외용 포장을 명확히 하라’는 등의 부대조건을 달아 개발공사의 삼다수 증산 동의안을 원안 가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