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재활병원에 사회복귀 훈련 프로그램이 구축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서귀포의료원과 통합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재활병원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는 관련 조례를 제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제주 재활병원의 전망과 서귀포지역 공공의료강화를 위한 정책토론회’가 서귀포시 공공의료를 위한 시민대책위 주최로 6일 오후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열렸다. 토론회는 제주도의회 강경식 의원의 좌장으로 진행됐다.
김성환 서귀포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은 ‘제주 재활병원은 지역장애인에게 희망을 줘야 한다’는 주제 발표를 통해 “재활병원 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사회복귀 훈련 프로그램이 연이어 구축돼 있어야 한다. 즉 의료적 지원 뒤에 원래 재활의 취지인 장애 상담·진단·자립서비스가 연계된 과정이 추가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또 “의료적 관점에서만 문제를 바라볼 경우 장애당사자의 사회복귀에 전혀 도움이 되지 못 한다”며 “의료적 치료 후 사회적 복귀를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 자립을 지원하는 체제까지 갖춰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재활병원은 재활과정에만 초점을 둔 공간이 아닌 사회복귀와 자립생활을 위한 훈련과 실천의 공간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그러면서 사회 복귀를 위한 자립생활훈련과 상담까지 실시하는 일본 오사카의 장애인의료 리헤빌리테이션센터를 소개했다.
김 소장은 이어 “보다 세분화되고 전문화 된 의료과정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운영비에 대해 “현재의 진료비만으로 공공의료기관을 운영할 경우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적자운영이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며 “때문에 다른 지역 재활병원처럼 국고지원이 안 되는 경우 병원 운영을 중단할 수밖에 없는 현실적 원인은 제거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서귀포시 공공의료 발전을 위해’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 양윤란 서귀포시 공공의료를 위한 시민대책위원회 공동대표는 서귀포의료원과 재활병원의 통합운영이 필요성을 역설했다.
양 대표는 “분리 운영되면 고가장비를 따로 구입해야 되고 병원 정체성 문제가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반면 통합운영에 대해서는 “의료재활·사회재활·장애인원스톱서비스가 제공되고 재활병원을 이용하는 장애인들에게 안정적인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라며 “장비예산 절감이 가능한 이점도 있다”고 강조했다.
‘도민과 장애인의 뜻을 모으는 조례제정이 선행돼야 한다’는 주제로 발표에 나선 강호진 대안공동연구체 국장은 “제주 재활병원이 최근 보이는 난맥의 원인으로 재활병원 조례가 아직까지도 제정되지 못한 것이 가장 큰 이유”라며 “조례에서 제주재활병원의 설립취지, 목적을 분명히 하고 그에 따라 운영기관과 지원방식을 정하면 재활병원이 운영의 큰 가닥이 잡힐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