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 도심권 주차장 확보율이 90%가 넘음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주차난을 겪고 있다. 서귀포시가 이에 따른 특단의 대책을 마련했다.
서귀포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서귀포 도심권(송산․정방․중앙․천지․동홍․서홍동)의 주차장은 1만7340면이다. 노상주차장은 2940대, 노외주차장은 4080면(공영 802, 공한지 3092, 민영 186), 부설주차장 1만2320면이다.
이들 지역에 등록된 차량이 1만9058대인 점을 감안하면 주차장 확보율은 91%에 이른다. 1718면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도심 곳곳에는 차를 세우지 못해 이면주차는 물론 불법 주정차까지 판치고 있다. 시장 입구는 물론, 대도로 주변에도 불법 주차가 만연해 있다.
이처럼 극심한 주차난에 시달리는 것에 대해 시는 여러 가지로 분석하고 있지만 크게 6가지 이유를 내놓았다. 그것은 ▶공영주차장의 부족 ▶건축물 부설주차장 다른 용도로 사용해 설치기준 약화 ▶주차는 공짜라는 인식과 불법 주정차에 대한 관대 ▶공영주차장 무료화로 인한 주차 회전율 저하 ▶대중 교통수단 이용 약화 ▶병의원․상가․식당․금융 및 행정기관 등의 모든 도시 인프라가 도심에 집중돼 이를 이용하기 위한 외부차량 유입 등이다.
이에 따라 시는 주차장 확보는 물론 강력한 불법주차 단속에 나서기로 했다.
시는 우선 공영주차장을 확충하기 위해 공한지 무료주차장(3092면)으로 이용하고 있는 부지를 재산권 행사 전에 서둘러 매입키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공영주차장 예산을 58억7500만원을 증액할 예정이다. 시는 사유지 매입에는 재정 여건상 한계가 있어 도심권 학교 등 공공시설 부지 지하에 공영주차장을 조성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시는 또 전체 주차장의 71%를 차지하고 있는 부설주차장에 대한 가동실태에 대해 점검․단속을 실시해 주차장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상설 점검반 편성·운영키로 했다. 더불어 건축물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을 세대 당 1대에서 1.5~2대로 강화토록 건의할 방침이다.
불법 주정차에 대한 단속도 강화된다. 주요 간선도로에 대한 주정차 금지구역 지정하고 불법 주정차 단속을 위해 CCTV를 설치할 계획이다. CCTV는 점진적으로 이면도로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기존 주차장에 대한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공영주차장 전면 유료화도 계획하고 있다.
아울러 자가용 이용을 줄이기 위해 공영버스 등 대중교통 시설개선 및 서비스 확대와 도심권 접근을 용이하게 운행체계도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시는 이외에도 ▶동 주민자치위원회 등을 주축으로 ‘주차질서 확립 추진위원회’ 구성․운영, ▶자기 차고지 갖기 사업 ▶대각주차 단속 추진 등에도 나서기로 했다.
시는 이러한 방침을 ‘서귀 도심권 주차난 해소 추진계획’에 담아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향후 사업성과 등을 분석해 다른 읍·면·동지역으로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서귀포시 김향욱 건설교통과장은 “‘서귀 도심권 주차난 해소 추진계획’에 따라 주차 관련 시책 및 사업들을 추진해 나간다면 도심권 주차난을 해소하고 지역상권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이들 주차관련 시책 및 사업들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협조와 참여가 없이는 성공할 수 없다”며 “불법 주정차에 따른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해 시민들의 자발적인 협조와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