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산지천 일대 야시장 도입의 연장선상에서 추진되는 탐라문화광장 조성 사업은 산지천 일대 5만㎡에 제주여신을 주제로 한 메인광장과 6개의 소규모 정원을 조성하는 사업.
오는 2014년까지 공공부문 400억원, 민간자본 352억원 등 752억원을 들여 쇼핑, 공연, 음식 등을 결합한 광장을 만든다는 구상이다.
제주도는 내년 예산안에 토지매입비 등 탐라문화광장 조성사업 관련 예산으로 87억원을 반영했다.
16일 제주도 도시디자인본부에 대한 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위원장 김태석)의 행정사무감에서 김경진 의원은 "구도심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다는 탐라문화광장 조성 사업은 도민들의 알권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추진 과정에 의구심이 들고 있다"며 "트램과 마찬가지로 도지사 공약사업이어서 열의를 갖고 추진하는 모양인데, 메인광장 1개, 소광장 6개 조성해서 구도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광장을 조성하는데 내년 토지매입비로 87억원을 편성하는 등 지방비 400억원 등 700억여원이 투입되는 사업"이라며 "지방비 400억원 등 막대한 혈세가 투입되는데도 2015년까지 중기지방재정계획(2012~2015)에 포함돼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그 동안 구도심권 활성화 용역비로만 25억원을 쏟아붓는 등 각종 용역을 남발했지만, 용역 결과를 반영해 사업을 추진하 것이 하나도 없다"고 질타했다.
김 의원은 트램 사업과 관련, “용역진이 제시한 동서안은 1500억원들지만, 전 노선을 연결하려면 1조5000억원은 투입돼야 한다”며 “이런 사업은 대통령 공약 일때나 가능한 일”이라며 무리한 사업 추진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 지사 공약이니 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트램은 도민 동의도 없고 명확한 계획도 없이 추진하는 사업”이라고 질타했다.
신영근 의원은 “사전에 구도심권 상인들과 지역주민들을 만나 의견을 수렴하는 게 중요하다”며 “현재 구도심권은 무엇보다 주차 문제와 접근성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김명만 의원도 “아무리 도지사 공약사업이라 해도 도민 정서에 맞지 않고 불합리한 공약은 오히려 포기하는 게 더 낫다”면서 “야시장 관련 용역비만도 2억원이 소요됐는데 또 예산을 투입해 용역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박용현 도시디자인 본부장은 "야시장이더라도 국제자유도시 품격을 높이기 위해 명칭을 '탐라문화광장'으로 변경했다"며 "제주의 관문이었고 역사․문화의 중심지였던 원도심을 다시 살리기 위한 것으로 구도심 활성화 방안의 하나"라고 밝혔다.
박 본부장은 "그 동안 구도심 활성화 용역 결과가 수장됐다는 데 동의한다"며 "하지만 탐라문화광장 조성사업은 원도심을 활성화시켜 구도심 공동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주변 상권을 활성화시키고 새로운 문화관광 자원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