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 10층 높이로 게획됐던 제주시의 신청사 건립 계획이 전면 백지화됐다. 제주형 행정체제개편과 제주도의회 공유재산관리계획안 심사 보류가 겹치면서 중앙투자심사 절차마저 무효화됐기 때문이다.
4일 제주시 등에 따르면 2019년 ‘제주시청사 신축 사업 타당성조사’ 결과를 토대로 추진된 계획은 사실상 무산됐다. 중앙투자심사에서 조건부 통과했으나 도의회 심사 보류로 안건이 자동 폐기되면서 효력도 사라졌다.
2020년 중앙투자심사 절차를 밟았지만 4년 이상 지연된 사업은 원점 재심사 대상이어서 처음부터 계획을 다시 세워야 한다.
신청사 건립 계획 무산은 행정체제 개편 논의가 지지부진하면서 사실상 예견됐다. 청사 규모 확정이 어렵다 보니 신축 계획 수립도 미뤄졌고, 오영훈 제주지사가 관련 현안을 민선 9기 제주도정으로 넘기면서 추진 동력도 잃었다.
제주시 관계자는 “중앙투자심사까지 받았지만 도의회 부결 이후 모든 절차가 멈췄다”고 말했다.
제주시청 본관은 1952년 건축돼 올해로 73년이 되는 낡은 건물이다. 하지만 2005년 근대문화유산인 등록문화재로 지정 후 개축·증축이 불가하다. 이 때문에 직원들은 본관과 6개 별관에 흩어져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민원 안내도 어렵고, 건물 노후화로 누수 등 문제도 이어지고 있다.
제주시는 민선 7기 시절인 2018년 행안부 타당성조사 결과를 받아 지하 3층, 지상 10층, 연면적 2만4822㎡ 규모의 신청사를 계획했다. 공사 비용은 729억 원, 총사업비는 1100억 원으로 추산됐다. 기존 본관을 역사박물관으로 전환하고 광장을 조성하는 계획도 포함됐다.
그러나 공유재산관리계획안 부결과 행정체제개편 논의 중단으로 계획은 흐지부지됐다. [제이누리=강재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