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산부인과 진료가 가능한 병원이 없어 환자가 헬기를 타고 타 지역으로 이송되는 일이 일어났다. 지역 의료 인력 부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지방분권형 의료정책’ 필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제주 소방헬기 '한라매'의 장면이다. [제주소방안전본부 제공]](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939/art_17585910568442_4d5693.jpg?iqs=0.72273308541974)
제주에서 산부인과 진료가 가능한 병원이 없어 환자가 헬기를 타고 타 지역으로 이송되는 일이 벌어졌다. 지역 의료 인력 부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지방분권형 의료정책’ 필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23일 제주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후 5시 33분 제주대병원은 부인과 진료를 위해 내원한 50대 여성 환자의 전원을 119에 요청했다. 당시 병원 내 산부인과 진료 인력이 없어 환자는 소방 헬기 '한라매'를 통해 경남 진주의 한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 사례는 최근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 갈등으로 떠났던 전공의들의 복귀를 유도했음에도 불구하고 제주 의료 현장에서 공백이 여전함을 보여준다. 실제 제주지역 수련병원들은 올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나섰지만 정원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제주도의회가 소방안전본부를 통해 제출받은 '헬기 이용 고위험 산모 타 시도 이송 실적' 자료에 따르면 2022년 3건, 2023년 10건, 지난해 9건에 이어 올해 들어 4월까지도 2건의 이송이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지방분권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정책 토론회에서도 지역 의료 인력 부족 문제는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전문가들은 중앙집권형 건강보험 재정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공공·필수의료기금 설치와 지방분권형 수련체계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옥민수 울산대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지역·필수·공공 간 구조적 관계를 이해하고 종합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자치분권 실현을 위해 공공·필수의료기금을 설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남우동 강원대병원장은 "현재 강원·경남·전남·제주 4개 시도에서 시범사업 중인 지역필수의사제를 전국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대학병원과 지역 공공의료기관 간 순환 수련을 통해 전문성과 현장 대응력을 동시에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제주에서 환자가 타 지역으로 헬기 이송되는 현실은 '지방의사 소멸시대'라는 경고를 다시 확인시킨 셈이다. 도민 사회에서는 단순한 의대 정원 확대가 아니라 지역 맞춤형 인력 배치와 지방 중심의 정책 전환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