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지역 과학기술과 연구개발(R&D) 전담기관인 '제주과학기술정보산업혁신원'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
11일 제주도에 따르면 가칭 ‘제주과학기술정보산업혁신원’(이하 혁신원) 설립 타당성 검토 의뢰를 위한 사업비 1억원을 제1회 추경안에 반영해 의회에 제출했다.
혁신원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제주의 미래먹거리를 창출하기 위한 지역 과학기술과 연구개발(R&D) 전담 컨트롤 기관이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지사 후보 시절부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컨트롤타워를 구축, 제주의 새로운 과학기술 시대를 열어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 민선 8기 101대 과제를 수립하면서 '새로운 미래' 분야 핵심 과제 중 하나로 R&D 컨트롤타워 구축을 포함했다.
도는 지난 3월28일 제주연구원에서 혁신원 설립 관련 포럼을 갖고, 도내외 전문가들과 혁신원 설립 필요성에 공감하고 파급효과를 전망하기도 했다.
이날 류성필 제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은 “타 지역 대비 적은 대학 및 산업단지 등의 여건으로 제주에서 R&D 산업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면서 “소프트웨어 산업 진흥을 위한 기업지원 업무 수행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고, 지역 과학기술혁신 생태계 마련 측면에서 혁신원을 설립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보다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7년 10월 '과학기술 중심 지역혁신 기본방향'을 발표하면서 지역 주도 R&D 이슈 설정, 기획 및 연구역량 강화 추진을 위해 전국 17개 시·도에 지역 과학기술 기획 및 평가 전문기관 운영을 권고했다.
이에 부산(BISTEP)과 경기(GBSA), 대전(DISTEP), 충남(CIAST) 등 4곳이 지역 R&D 사업 전담기관을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도는 이번 용역으로 혁신원의 성격과 조직 규모 등 큰 틀을 마련함과 동시에 기존 출자·출연 기관에 대한 통폐합 여부도 살펴볼 계획이다. 혁신원은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 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출연기관 설립 방식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도 산하에는 공기업 3곳과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제주연구원을 포함한 출자.출연기관 14곳 등 모두 17개의 공공기관이 있다.
하지만 전국적인 무분별한 지방 출자·출연기관 설립으로 행정안전부가 20인 이하의 소규모 지방 출자·출연기관을 만들 수 없게 하는 등 소규모 기관 남설을 막을 필요성이 있다는 목소리가 지속해서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혁신원 설립에 따른 기존 출연기관간 통폐합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