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5 (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교육연수복합단지.문화체육복합단지.디지털 지식산업밸리 ... "다양한 대안 필요"

 

5년째 방치되고 있는 옛 탐라대 부지, 그냥 이대로 둘 것인가?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와 김용범(정방․중앙․천지동)·이경용(서홍․대륜동)·임정은(대천․중문․예례동) 의원은 26일 도의회 소회의실에서 '구 탐라대 부지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좌담회'를 열었다.

 

이날 좌담회에는 한승철 제주연구원 연구위원을 비롯한 이상봉 위원장 및 오창헌 하원마을회장, 강상기 전 하원마을회장, 최성두 제주도 청년정책담당관, 양인정 제주도 인재개발원장, 이도경 서귀포시 평생교육지원과장 등이 참석했다.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서귀포시 하원동 약 32만㎡ 규모의 탐라대 부지는 2016년 제주도가 매입한 도유지다. 하지만 아직도 활용방안이 마련되지 않았다.

 

'산남 지역에 대학을 유치하겠다'는 서귀포 주민 염원이 담긴 곳이라 이곳에 외국 대학교를 유치하려고 했으나 성사되지 않아 대안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이다.

 

한승철 연구위원은 탐라대 부지 활용 방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연수연구복합단지 조성을 부지 활용대안으로 제시했다. 

 

또 후순위 대안으로 농수산물물류센터·문화공연센터·전지훈련장을 포함한 문화체육복합단지 조성, 디지털 지식산업밸리 조성, 수목원 조성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주요 대안별 주관부서 지정과 태스크포스(TF) 운영, 주요 대안별 마스터플랜 수립, 파급효과 분석을 통한 추진동력 확보, 주민 수용력 제고, 토지이용 법적 규제 검토 및 해결방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용범 의원은 "부지 활용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건 지속적이면서 안정적이어야 한다"면서 "국비가 지속적으로 지원될 수 있는 기관들, 가령 한국체육대학교 분원이나 카이스트 연구기능 등을 분산 유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경용 의원은 "현재 학교부지인 점에 얽매여 교육기관 유치에만 목매지는 말았으면 한다"면서 "다양한 대안을 놓고, 그에 따른 토지이용에 따른 법적 규제를 검토한 뒤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식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탐라대는 1997년 12월 설립 인가됐다. 서귀포시 하원동 산 70번지 일대에 개교했다.

 

그러나 동원교육학원 이사장의 횡령비리가 불거져 같은 재단인 제주산업정보대학과 탐라대 모두 내우외환에 시달렸다. 결국 2011년 7월 교과부는 같은 재단인 제주산업정보대학(제주국제대 전신)과 통폐합 승인 결정을 내렸다.

 

'옛 탐라대 부지는 학교법인 동원교육학원 정이사 선임일로부터 5년 이내 매각해 매각대금 전액을 제주국제대 교비로 전입하라‘는 게 승인조건이었다.

 

제주도는 2016년 6월 학교법인 동원교육학원(동원학원)의 소유였던 탐라대 부지 2필지 31만2217㎡(9만5000평)와 건물 11개동 3만316㎡를 415억9500만원에 매입했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