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안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쓰레기는 담배꽁초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5월 29일부터 지난달 26일까지 3차례 조사 결과 제주 해안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 쓰레기는 담배꽁초였다고 2일 밝혔다.
이 단체가 주관한 '제주줍깅' 상반기 캠페인은 연인원 68명이 참여했다. 이 단체는 제주시 내도동 알작지 해변, 김녕해수욕장, 곽지 한담해변 일대에서에서 모두 332kg의 해안 쓰레기를 수거했다.
수거된 쓰레기는 모두 3864개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전체 34.3%를 차지하는 담배꽁초(1324개)였다.
환경연합은 “담배 필터는 90%이상 플라스틱 재질로 이뤄져 꽁초가 바다에 유입될 경우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해양생태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하기 때문에 담배꽁초 무단투기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로 많이 발견된 해안 쓰레기는 플라스틱 파편류로, 모두 745개(19.3%)가 수거됐다.
플라스틱 파편류는 플라스틱 제품인 것은 확인되지만 원래 어떤 제품이었는지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파손된 쓰레기를 말한다.
환경연합은 “이는 바다에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가 미세플라스틱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고 말했다.
어업활동으로 인한 쓰레기는 모두 415개(10.7%)가 발견됐다. 특히 끈류가 많이 발견됐다. 해양동물과 조류가 밧줄, 노끈, 낚싯줄 등에 얽혀 폐사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러한 조사 활동을 하반기에도 벌일 계획이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