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환경단체들이 '한라산 남벽탐방로 재개방 계획 전면 백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곶자왈사람들은 12일 제주도의회 도민의방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라산 남벽정상탐방로 재개방 계획을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자연휴식년제 이후 아직도 복구가 안 된 남벽 탐방로를 재개방하려는 것은 한라산 보전관리 정책의 후퇴를 의미한다”며 “현재 제주도가 추진하고 있는 오름과 곶자왈까지 국립공원으로 확대·지정해 보전 관리하려는 정책과 이율배반적인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도는 '남벽 정상 탐방로 개방은 탐방객 포화 상태를 해결하려는 방안'이라고 설명하고 있다”며 “그러나 이 문제는 신규 탐방로 개설이 아닌 탐방객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는 수요 관리 정책으로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미 도는 지난해 말부터 한라산 탐방 예약제와 입장료 징수 등의 수요관리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며 “현재 용역 중인 ‘탐방객 수용가능 인원 및 관리방안 산정연구’를 토대로 사전예약제 및 총량제의 시행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탐방로에 데크 시설이 설치되면 주요 조망 점에서 바라볼 때 한라산의 경관을 크게 해치고 고산식물과 특산식물이 집단 서식하고 있는 이 일대의 환경을 훼손할 수 밖에 없다”며 경관 및 환경 훼손 문제도 제기했다.
이어 “한라산 남벽정상탐방로의 재개방 계획을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며 "성판악 코스의 탐방객 수요를 관리하는 것이 급선무다. 한라산 보전 및 관리를 위해선 체계적인 계획과 일관성 및 전문성을 갖춘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1986년 개설된 한라산 남벽 정상 탐방로는낙석 등의 사고로 1994년부터 출입이 통제됐다. 현재 한라산 정상까지 탐방할 수 있는 코스는 성판악과 관음사 등 2개 코스다. 남벽 정상 탐방로가 재개방되면 한라산 정상까지 이어지는 구간은 어리목, 영실, 돈내코 코스 등 3개 코스가 추가, 총 5개 코스가 된다. [제이누리=박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