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문 제주교육감은 13일 속개된 제350회 임시회 5차 본회의 교육행정질문에서 "제주시 서부권역의 민원 해소와 학교간 교육여건 개선을 위해 서부권에 중학교 신설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자리에서 유진의 제주도의원은 “제주시 서부권 여중·고생의 상당수인 1800명 정도가 구제주권 학교 배치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학교 신설이 필요하다. 이는 지역민들의 숙원사업”이라고 말했다.
유 의원은 "저도 아이를 3년간 원거리 통학을 시킨 적이 있다"며 "노형·연동에서 아라동까지의 통학시간도 장난이 아니다. 이는 학생들의 교육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서부권 중학교 신설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이 교육감은 “학교 신설을 위해서는 건축비와 부지매입비 등을 합쳐 400억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 된다”며 “이미 예산을 200억 넘게 적립해놓고 있고, 다음달 중으로 교육환경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학교 신설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도시계획에 포함되면 학교부지가 바로 확보된다"면서 "그러나 지금 염두하고 있는 곳은 도시계획에 포함되지 않은 곳이다. 4월에 학교 교육환경평가를 실시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부지를 매입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 교육감은 "외도동을 신설 학교 부지로 염두하고 있지만 사유지라서 특정해서 말하지 못하는 점을 이해해달라"며 "사유지 이기에 지금은 (부지 매매에) 동의를 했다가도 이후에 번복될 수 있어서 조심스러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유 의원은 “정말 어려운 일을 해결했을 때 교육감에 대한 능력이 평가받을 것"이라며 "기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홍경희 제주도의원은 "학교 신설보단 이전이 쉽지 않느냐. 가장 현실적인 해법은 '제주여중·고' 이전"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이 교육감은 "(제주여중·고 이전에 대해) 제주여자학원가 반대 의사를 표명해왔다"며 "그렇다고 아주 포기한 것은 아니다. 신설과 이전 둘 다 했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제이누리=박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