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박물관은 제주대 개교 64주년을 맞아 ‘겸재 정선, 제주에 마실 나오다’ 기획특별전을 오는 17일부터 6월17일까지 박물관 기획전시실(3층)에서 연다.
이번 기획특별전에는 겸재 정선의 작품 57점과 4D영상 등이 전시된다. 전시 작품은 서울 강서구 겸재정선미술관(관장 이석우)이 소장하고 있는 진본(3점)과 영인본이다.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은 조선후기 대표적 문인화가다. 독자적이고 한국적인 조선 고유의 ‘진경산수화풍’을 창조하며 한 시대의 새로운 문화적 흐름을 이끈 선구적 인물이다.
겸재 정선 작품이 제주에서 전시되는 것은 처음이다. 제주대박물관이 타 지역 박물관·미술관과 문화교류를 통한 외연을 넓히기 위해 기획됐다.
제주대박물관은 “세계자연유산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과 겸재 정선이 그림으로 담아낸 ‘조선 산천’의 아름다움을 비교 감상할 수 있는 전시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전시와 연계해 이석우 관장은 ‘겸재 정선, 붓으로 조선을 그리다’ 를 주제로 문화특강도 한다.
전시 구성은 <자연의 아름다움, 진경에 깃들다>, <선비의 눈과 마음, 자연에 깃들다> <진경의 미학, 상징에 깃들다>, <겸재정선을 만나다> 등 4부로 구성됐다.
1부 <자연의 아름다움, 진경에 깃들다>에서는 <양천팔경첩>과 <신묘년풍악도첩> 등에 장첩된 산수화 그림으로 금강산, 한강 주변, 서울 성내 풍경을 그린 작품이 전시된다.
2부 <선비의 눈과 마음, 자연에 깃들다>에서는 시론과 고사를 그린 <사공도시품첩> 그림과 ‘귀거래도’가 전시된다.
3부 <진경의 미학, 상징에 깃들다>에서는 ‘개구리’와 ‘다람쥐’ 등 겸재 정선의 ‘초충도’ 작품이 전시된다.
4부 <겸재정선을 만나다>에서는 겸재 정선의 대표 작품인 ‘독서여가’, ‘금강전도’, ‘인왕제색도’ 등을 4D 영상으로 만날 수 있다.
문혜경 박물관장은 “겸재 정선의 작품을 통해 우리 산천의 아름다움과 그림에 내재된 화혼의 향기를 눈으로 직접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 관장은 “세계자연유산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과 겸재 정선이 그림으로 담아낸 ‘조선 산천’의 아름다움을 비교 감상할 수 있는 전시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개막식은 7일 오후 3시 제주대박물관 1층에서 열리며, 식후에는 2층 시청각실에서 문화특강이 진행된다.
박물관은 관람객을 위해 토요일도 개관할 계획이다. 관람료는 무료다. 관람시간은 평일과 토요일 오전 10시~오후 5시다.
문의=제주대박물관 학예연구실(754-2243). [제이누리=박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