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회의는 "지난해 정부는 제주도민의 숙원인 소방헬기 도입을 위해 국비 150억을 지원하기로 약속했었다"며 "지난 6월 제주도의회도 도입 이후 한 해 약 20억원의 유지비와 격납고 설치비 30억원 등 막대한 유지관리비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공유재산 변경안'을 통과시켜 소방헬기 도입에 힘을 보탰다"고 설명했다.
연대회의는 "그러나 기획재정부는 기존의 약속과 달리 올해 45억원만 국비로 지원하고, 나머지 2016년 45억원, 2017년 60억원 등 105억원은 '소방안전교부세'로 대체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며 "이는 이전 다른지역의 소방헬기 도입예산을 전액 국비로 지원했던 것에 비해 제주지역을 홀대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그동안 제주는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한라산과 부속도서의 인명구조와 응급환자 이송, 화재진압 등 헬기와 같은 항공기를 이용해야 하는 응급상황 발생시 제대로 대처를 하지 못해서 많은 피해를 받아 왔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이어 "한달 유입인구 약 1500명의 폭발적인 인구 증가와 1000만명 넘는 관광객으로 응급상황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른 소방헬기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연대회의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사안인 만큼 소방헬기 도입은 조속히 이뤄져야 하고 ‘안전한 제주가 안전한 대한민국의 시작’이라는 대승적 관점에서 당초 약속대로 소방헬기 도입 예산 150억원 전액을 국비로 지원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제이누리=김경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