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은 18일 논평을 내고 "농민들을 배제한 제주도 감귤대책은 즉각 수정해야 한다"며 "고품질 감귤 안정생산 대책은 감귤농가가 혁신하면 행정적 지원을 하겠다는 것으로 비상품감귤을 수매하지 않고, 그 예산을 고품질 감귤 생산에 투자하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그러나 "도정 정책과 농민들의 의지만으로 비상품 감귤 생산을 막을 수 있겠냐"며 "매해 수확량의 30%를 폐기하라는 것은 농민 입장에서는 쉬운 일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정의당은 "비상품 감귤을 수매하는 등 정책을 없애고, 농민들 스스로 비상품 감귤을 산지 폐기하라는 것은 무책임한 정책"이라며 "그나마 도에서 최소한의 보전비용이라도 제공이 되어 비상품감귤이 가공용으로 흡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것이 농민들의 한결같은 중론"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보전비용을 없애고 산지폐기하라고 강제했을 때 오히려 비상품감귤이 현재보다 더 많이 시장에 유통될 가능성이 높다"며 "산지폐기시 발생하는 2차 오염의 대책 역시 전무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제주도는 표준과원을 만들겠다고 했지만, 지역마다 토양과 기후가 다르고 감귤 농가마다 농법이 다르다"며 "정말 맛과 품질이 일정한 표준과원을 만들 수 있겠나"며 비꼬았다.
정의당은 "제주도가 감귤 정책을 수립하는데 농민들의 의견을 들었는지 의문"이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듣지 않은 행정 정책으로 농민을 설득할 수 없다. 감귤 정책을 즉시 수정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제이누리=김경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