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제주환경운동연합, LNG발전소가 대안…LNG인수기지도 규모 키워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제주지역 에너지 자립을 위해 LNG발전소 건설계획을 다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LNG인수기지의 규모를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11일 발표한 논평에서 “송전선로는 말 그대로 전력을 보내주는 설비 일 뿐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설비가 아니기 때문에 보내주는 쪽의 전기가 없으면 무용지물”이라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어 “제주도가 9일 공시한 ‘제4차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에너지 계획’에서 이명박 정부가 백지화시킨 제주지역 LNG발전소 건설에 대해 법정계획에서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며 “이는 제주도의 에너지자립을 위해 해저송전선로보다는 LNG발전소 건설이 시급히 필요함을 사실상 인정하는 결론”이라고 강조했다.

 

환경운동연합은 따라서 “제주도 에너지자립을 위해 이명박 정부가 백지화시킨 LNG발전소 건설을 다시금 추진하는 것이 제주도에 풍부한 풍력자원을 활용하는 데에도 필수적”이라고 역설했다.

 

특히 “현재 애월항에 건설 중인 LNG인수기지는 매우 소규모”라며 “대량의 발전용 LNG연료 공급이 어렵기 때문에 현 설계단계에서 규모의 확장을 염두에 두고 재검토를 해야 한다”고 재안했다.

 

그 이유로 LNG발전소를 위한 별도의 인수기지를 추가로 건설해야 한다는 것이다.

 

환경운동연합은 “작은 섬에 2개의 인수기지를 운영하는 것은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영원히 LNG발전소 건설이 불가능할지도 모른다”며 제주도정의 올바른 정책결정을 당부했다.

 

2006년 4월 1일 발생한 제주도 광역정전으로 인해 당시 노무현 정부는 제2해저 송전선로 증설과 함께 LNG발전소 건설을 확정지었다.

 

그런데 2008년 이명박 정부는 LNG발전소 계획을 백지화했고 해저 송전선로만을 증설키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현재 전남 진도에서 시작해 추자도 서쪽을 지나 제주시 해안동으로 이어지는 130km 길이의 제2해저연계선로 건설이 완료됐다.

 

하지만 지난해 준공해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었는데도 다른 지역 전력난으로 인해 보내줄 수 있는 전력이 부족해 현재도 제대로 가동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한편 에너지계획 보고서는 정책제언에서 "풍력은 안정적인 전력원이라 볼 수가 없다. 적어도 세 개의 (해저)연계선 중 하나만 동작을 멈춰도 예비력이 문제가 돼 2020년 이전에는 새로운 발전소 증설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제주지역에 기존 발전소 증설이나 신규발전소 신설이 요구된다. 제3연계선을 우선하는 것보다 LNG 발전소 신설 방안에 대해 어느 쪽을 우선하는 것이 좋은지 진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기술돼 있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