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훈 제주지사가 "미분양 주택문제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며 집중대응 의지를 밝혔다.
오 지사는 11일 제주도의회에서 열린 2026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시정연설에 앞서 도가 편성한 내년 예산안 규모는 7조7975억 원이다. 일반회계 6조3580억 원, 특별회계 1조4295억 원으로 구성됐다. 올해보다 2092억 원 증가했다. 건설 경기 회복을 위해 4500억 원 규모의 지방채 발행이 포함됐다.
오 지사는 “지방채 발행에도 재정 건전성을 유지, 부서 운영경비 20%, 업무추진비 30% 삭감 등 불필요한 비용은 최대한 줄였다”고 설명했다.
오 지사는 지난 3년간 민선 8기 도정 성과도 제시했다. 1차산업 조수입 5조 원 달성·싱가포르 수출 승인·관광객 수 증가·하원테크노캠퍼스 내 제주한화 우주센터 준공·분산에너지특구 지정 등을 들었다. 그는 "이제는 성과를 도민 일상 속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도는 내년부터 미분양 주택 해소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원시취득세 50% 감면 조례 개정, 시행사와 협력한 ‘착한가격 주택’ 선정, 도외 실수요자 홍보,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올해 300호에서 내년 500호로 확대하는 등의 주요 방안을 계획했다.
오 지사는 “미분양 주택 문제가 해결되면 건설업계와 지역 소비 심리가 함께 살아나면서 경제 활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전체 미분양의 63%를 차지하고 있어 단순 부동산 문제가 아닌 건설업·금융업·소상공인 등 지역경제 전반의 흐름을 막는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공공과 민간이 함께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민생경제 활성화를 위한 예산 활용도 제시됐다. 소상공인 금융지원 확대, 지역 내 소비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 건설경기 부양 등 내수 진작을 위한 투자와 함께, 청소년 대중교통 무료화, 응급의료체계 강화, 맞춤형 돌봄서비스 확대 등 도민 생활 안정 정책도 포함됐다.
오 지사는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을 미래 제주 발전의 핵심 축으로 제시했다. “재생에너지 비중이 20%에 이른다. RE100과 분산에너지특구 지정으로 도민이 직접 전력을 생산하고 거래하는 ‘에너지 민주주의’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오 지사는 연설을 마치며 “민선 8기 남은 기간 동안 도민 삶을 안정시키고 풍요롭게 만들기 위해 모든 정책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제이누리=강재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