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이 강정마을 주민에 청구한 34억5000만원의 구상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내 정치권이 뭉쳤다.
강정마을회와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 자유한국당 제주도당, 국민의당 제주도당, 바른정당 제주도당, 정의당 제주도당은 31일 제주도의회 도민의방에서 '구상권 해결을 위한 민·정협의체' 출범 기자회견을 열었다.
조경철 강정마을 회장은 “해군기지 건설을 반대했다는 이유로 구상권을 청구한지 1년이 넘어가고 있다"며 "공사 지연 책임을 강정마을에 청구한 것은 후안무치”라고 비판했다.
이어 “태풍 등 자연조건 이외의 공사 지연의 책임은 정작 해군에게 있음이 분명하다”며 “강정마을에 청구한 구상권을 고집하는 것은 후안무치를 넘어 언어도단이며 본말전도의 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이제라도 도내 모든 정당이 구상권 해결을 위해 강정마을회와 민·정협의체를 구성한 일에 다행이라 생각한다”며 “각 정당의 대선 주자들이 강정마을의 고통을 없애고 공동체를 회복해 살아갈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공약을 발표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현국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 사무처장은 “모든 정치권이 힘을 모아야 한다"며 국가 안보도 중요하지만, 국가 방위를 책임진다는 목표로 주민들과 화합하고 소통해야 한다. 갈등 유발은 말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장성철 국민의당 제주도당 위원장은 “강정마을 측에서 민정협의체 참여 제안을 받고 고민 없이 답했다"며 "정파를 떠나서 모든 정당, 시민사회단체까지 힘을 모아야 한다. 민군복합항이란 이름처럼 민과 군이 서로 어울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상수 바른정당 제주도당 사무처장은 “국책사업이 진행될 때 크고 작은 갈등이 발생할 수 있지만, 갈등 원인을 주민들에게 청구하면 안된다"며 "구상권 철회가 도민사회 대통합을 이루는 계기다. 구상권 문제 해결을 위해 모든 역량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김대원 정의당 제주도당 부위원장은 “정의당은 처음부터 강정마을 주민들과 함께 했다"며 "평범하게 살던 주민들이 하루아침에 범법자가 됐는데, 이는 민주사회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구상권 철회는 물론, 주민들의 사면복권과 그동안 청구된 벌금에 대한 보상도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후 강정마을회와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4개 도당 관계자들이 참석한 1차 대표자 회의를 갖고 추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한편 자유한국당 제주도당은 이날 열린 19대 대통령선거 후보 선출 전당대회로 참석하지 못했다. [제이누리=박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