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예비후보는 8일 정책브리핑을 통해 "서귀포항은 제주항과 더불어 국가지정 무역항으로 지정돼 있으며 화물 수출입 및 국제여객선 입출항의 기능이 있는 중요한 곳이다"며 “이러한 중요한 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귀포항은 2000년 8월 여객항로가 중단된 이후 침체되었고, 14년이 지난 지금도 이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예비후보는 이어 "지난 14년 동안 서귀포항에 대한 여객선의 취항협의가 없었던 것은 아니며 취항에 대한 협상 막바지에 번번이 협상이 결렬되어 서귀포항을 중심으로 한 체류형관광지의 꿈은 실현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김 예비후보는 이에 따라 "서귀포항 여객선터미널 등 기반시설을 서귀포시가 건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여객선 취항에 따른 지원을 구체화해서 안정적인 여객선 취항이 되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 예비후보는 "1980년대 국내관광 1번지의 명성이 지금은 많이 퇴색했지만 관광에 대한 서귀포시의 경쟁력은 세계 어느 곳에 내놓아도 뒤지지 않는 천혜의 자원을 지니고 있다"며 "그 만큼 기반시설부터 정비하고 지원해 나간다면 옛 명성을 되찾을 가능성이 충분하고, 지속가능한 지역이 서귀포시인 만큼 그에 상응하는 지원이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고 말했다.
김 예비후보는 “취항과 결항이 반복되는 항로가 아닌 안정적인 항로가 돼야 한다"며 "체류형 관광객의 유치와 관광수요 분산, 여행패턴의 다양화를 위한 서귀포시 여건조성의 시작은 서귀포항 여객선의 안정적인 운항이 될 것이다"며 애착을 보였다.
김 예비부호는 "이러한 것들을 제주도정 차원에서 지원을 하고 실제적으로는 서귀포시 책임시장제를 통하여 이뤄나간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보고 있다”며 서귀포시에 대한 지원을 강조했다. [제이누리=김경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