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조천읍 교래리에 위치한 '갓 전시관'. 조선시대 양반들이 외출할 때 일상적으로 썼던 모자인 '갓'을 테마로 한 전시관이 제주에 있다는 것에 관광객들은 의아해하곤 한다. 다양한 박물관들이 즐비해 제주를 '박물관 천국'이라 부르곤 하지만, '갓 전시관'이라고 하면 아무래도 경복궁이나 한국민속촌 인근에 있어야 할 것 같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갓 전시관이 제주에 들어선 데에는 어떤 사연이 있는 것일까. 외할머니 고(故) 강군일(1883∼1952년) 선생, 어머니 고(故) 고정생(1907∼1992) 국가무형유산 갓일·양태 기능보유자, 장순자(84) 국가무형유산 갓일·양태 기능보유자, 그리고 장순자 선생의 딸 양금미(48) 이수자 등 4대(代)째 갓을 만드는 전통을 이어온 이들의 이야기를 들여다본다. ◇ 어머니에서 딸로, 다시 딸에게로…4대째 전통 이어가 "고정생 할망이 일등이우다! 그 할망밖에 잘하는 사람이 어서….(고정생 할머니가 일등이예요. 그 할머니밖에 잘하는 사람이 없어요)" 지금으로부터 약 40년 전 서울에서 온 전문가가 제주시 삼양 일대 5개 마을을 돌며 양태일을 제일 잘하는 사람을 묻고 다니자 뭇사람들의 입에서 이구동성으로 같은 대답이 돌아왔다.
올 초 개봉한 영화 '파묘'가 1000만 관객을 돌파하며 상반기 극장가를 휩쓸었다. 무당 '화림' 역을 맡은 김고은이 서슬 퍼런 식칼을 든 채 신들린 듯 춤을 추며 굿을 하는 장면이 관객들의 몰입도를 끌어올리는 등 영화의 흥행 뒤에는 무속 신앙이 자리하고 있다.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초자연적 현상, 이른바 오컬트(occult) 장르물인 '파묘' 이후 무속 신앙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높아졌다. 무속 신앙이 여전히 강하게 남아 있는 제주. 독특하게도 제주에선 다른 지역과 달리 무당을 '심방'이라 부르며 종교와 문화유산의 영역에서 보호한다. 제주에선 왜 무당을 심방이라 하는 걸까. ◇ "신령을 만나는 이, 신의 성방"…심방의 의미는? "난 무당이라 불리는 게 싫어. 심방님 또는 선생님이라고 해야지!" 제주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여러 심방과 인터뷰하다 보면 '무당'이라 불리는 것에 대해 강한 불쾌감을 드러낸다. 무속 신앙에 대한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리는 상황에서 제주에선 여전히 종교와 문화 영역에서 중요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심방은 제주에서 활동하는 무당을 일컫는 명칭이다. 유독 제주에서 달리 부르는 '심방'이란 말은 어디서 유래한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심방
제주 심방(무당을 뜻하는 제주어)들의 무구(巫具)가 최근 연이어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 기증됐다. 지난 2022년 12월 별세한 고(故) 고행선 심방의 무구자료 80점과 지병으로 인해 무업활동을 중단한 강인순 심방의 무구자료 65점이 지난해 2월과 4월 각각 기증됐다. 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자 국가무형문화재인 '제주칠머리당영등굿'의 전통을 이어온 고(故) 서재 김윤수 큰 심방의 무구자료 33점도 지난 2일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기증자료 목록에 올랐다. 무구는 심방이 굿을 할 때 사용하는 여러 도구를 두루 일컫는 말로, 심방 사이에 대를 이어 전승되곤 한다. 무구는 어떤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 것일까. 또 이들 무구가 박물관으로 간 까닭은 무엇일까. ◇ 박물관으로 향하는 무구…달라진 시대상 제주는 예부터 오랜세월 무속 신앙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제주 사람들은 산과 들, 바다를 생활의 터전으로 삼아 마을을 형성했고, 자신과 가족·마을을 지켜주는 신을 모신 신당인 '본향당'(本鄕堂)을 중심으로 무사안녕과 풍요를 기원했다. 제주에선 다른 지역에서 보기 어려운 독특한 이사철인 '신구간'(新舊間), 새해를 맞아 마을을 지키는 신께 감사의 세배를 올리는 신과세제
국민의힘을 이끌 새 선장에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선출됐다. 한 신임 대표와 함께 '친한(친한동훈)계' 최고위원 2명도 지도부에 입성했다. 한 대표는 23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당원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합산한 결과 과반인 62.84%(32만702표)를 득표, 결선투표 없이 승리를 확정했다. 원희룡 후보는 18.85%(9만6177표), 나경원 후보는 14.58%(7만4419표), 윤상현 후보는 3.73%(1만9051표)의 득표율을 각각 기록했다. 대표 선거와 별도로 1인 2표 방식으로 치러진 최고위원 선거에서는 장동혁·김재원·인요한·김민전 후보가 당선됐다. 45세 미만 청년최고위원에는 진종오 후보가 선출됐다. 장동혁 수석최고위원과 진종오 청년최고위원은 한 후보의 러닝메이트다. 인요한 최고위원은 원희룡 후보의 러닝메이트로서 '친윤(친윤석열)계'로 분류된다. 한 대표는 수락 연설에서 "민심을 어기는 정치는 없다"며 "국민의 마음과 국민 눈높이에 더 반응하자"고 말했다. 또 "건강하고 생산적인 당정관계와 합리적인 토론을 통해서 민심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때그때 때를 놓치지 말고 반응하자"고 강조했다. 아울러 "저를 지지하지 않았던 분들
국민의힘 새 대표로 한동훈 후보가 선출됐다. 한 후보는 23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전당대회 대표 경선에서 당원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합산한 결과 과반인 62.8%를 득표, 결선투표 없이 승리를 확정했다. 원희룡 후보는 18.8%, 나경원 후보는 14.6%, 윤상현 후보는 3.7%의 득표율을 각각 기록했다. 최고위원에는 장동혁·김재원·인요한·김민전 후보, 청년최고위원으로는 진종오 후보가 선출됐다. [연합뉴스]
대학로 소극장의 상징 '학전'을 30여년간 운영하며 후배 예술인을 배출해 온 가수 김민기가 위암 투병 끝에 21일 별세했다. 향년 73세. 김민기의 조카이자 학전 총무팀장인 김성민 씨는 22일 서울 대학로 학림다방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댁에서 요양 중이던 선생님(김민기)의 건강이 지난 19일부터 조금 안 좋아졌고 20일 오전 응급실을 찾았다"며 "병원에 갔을 때부터 상태가 좋지 않아 다음 날 오후 8시 26분에 돌아가셨다"고 밝혔다. 김씨는 고인이 눈을 감기 직전 유언이 없었느냐는 질문에 "갑작스럽게 떠나셨지만 3∼4개월 전부터 가족 등 가까운 사람들에게 고맙다는 말을 많이 하셨다"며 "학전과 관련해선 '지금 끝내는 게 맞다. 나는 할 만큼 다 했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이어 "선생님은 배우 설경구, 장현성 씨가 와도 '밥은 먹었냐'고 하실 분"이라며 "(평소 성격을 미뤄) 가족들과 상의한 끝에 조의금과 조화를 받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민기는 1951년 전북 익산에서 10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경기중·고등학교를 다닐 당시 미술에 몰두했던 학생이었으나 1969년 서울대학교 회화과에 입학한 뒤 붓을 놓고 가수의 길로 접어들었다. 획일적인 수업 방
조 바이든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민주당 대선 후보직에서 사퇴하면서 미국 역사상 현직 대통령이 당내 대선 후보 경선에서 승리한 뒤 사퇴하는 초유의 사례로 남게 됐다. 미 CNN 방송은 이날 "미국 현역 대통령이 재선 선거운동을 포기한 선례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드물다"고 보도했다. CNN에 따르면 재선 도전에 나섰던 현직 대통령이 당내 경선에 나섰다가 포기한 가장 최근의 사례로는 1952년과 1968년이 꼽힌다. 한국전쟁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민주당 소속 해리 S. 트루먼 당시 대통령은 1952년에 재선에 도전했으나, 지지율 하락으로 경선 초기인 뉴햄프셔 프라이머리(예비선거)에서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거두자 그해 3월 "나는 후보 재지명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며 출마 포기를 선언했다. 1968년 당시 대통령이었던 민주당의 린든 B.존슨도 재선에 도전했으나 트루먼 전 대통령과 비슷한 결말에 이르렀다. 존슨 대통령은 미국에서 베트남전 반대 기류가 확산하며 지지율이 크게 떨어졌고, 그해 3월 12일 뉴햄프셔 프라이머리에서 경쟁자인 유진 매카시 상원의원과의 표차가 기대보다 적게 나타나자 3월 말 연설에서 재선에 나가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따라서 바이든 대통령
15일 아침 제주시 추자면 신양리 신양분교 운동장은 고요했다. 기다란 단층 건물 오른편에 2층 건물이 증축된 것 같은 학교 건물이 눈에 들어왔다. 교실은 대충 10개쯤 되어 보였다. '꿈과 끼를 마음껏 펼치는 행복한 학교'라고 적힌 현판 아래 연구실에서 이 학교의 유일한 교사인 이정래 선생은 현재 재학생이 4학년 여학생 1명뿐이라고 말했다. 이 여학생은 원래 하추자도 신양리 출신이지만 또래 학생들과 어울리기 위해 다리로 연결된 상추자도에 있는 추자초에 진학했다. 하지만 휴교 위기에 놓인 신양분교의 사정을 고려해 다시 분교로 전학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양분교 재학생 한 명이 졸업하면서 학생이 없어 휴교 위기에 처하자 이 학생이 '억지로' 옮겨와 다시 분교 명맥을 유지하게 됐다. 이 선생은 "작년에 새로 부임한 마을 교회 목사의 딸이 전학을 왔으나 지난주에 목사가 다른 곳으로 부임하면서 그 6학년 학생이 전학을 갔다"고 설명했다. 이 학교는 원래 신양국민학교(초등학교)로 설립됐고, 학생 수가 가장 많았던 1969년 재학생은 565명에 달했다. 그러나 해마다 재학생이 줄면서 1999년 추자초 분교장으로 격하됐다. 제주도의 부속 섬 가운데 두 번째로 큰 섬인 추자도
'집 떠나와 열차 타고 훈련소로 가는 날…' 김광석의 대표곡 '이등병의 편지'는 입대하는 까까머리 젊은이들과 연인, 가족의 심금을 꽤나 울렸던 노래다. 노래에 등장하는 훈련소로 논산훈련소('육군 제2훈련소'에서 '육군훈련소'로 개칭)를 떠올리는 사람은 많지만, 제주에 '원조' 훈련소가 있었던 사실을 기억하는 이는 드물다. 과거 6·25 전쟁 당시 50만 장병을 양성했던 제주 '육군 제1훈련소'다. ◇ "제주서 강한 신병 양성 훈련소 초석 다져"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의 한 교차로. 차들이 오가는 도로 양옆으로 높이 3.7m, 가로·세로 2.5m 크기의 시멘트 기둥이 나란히 서 있다. 두 기둥의 간격은 17m 정도다. 갈라지고 금이 간 기둥과 현판을 걸어뒀던 것으로 보이는 녹슨 철근은 오랜 세월의 흔적을 담고 있었다. 기둥의 정체는 옛 제주 육군 제1훈련소 정문이다. 지난 2021년 11월 국가 등록문화유산으로 고시됐다. 2008년 국가 등록문화유산으로 기존 등록된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에 정문을 추가해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와 정문'이라는 명칭으로 새롭게 등록됐다. 도로 한복판에 덩그러니 남은 2개의 시멘트 기둥, 인근에 몇 안되
24일 30명의 사상자를 낸 경기 화성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 화재가 22시간여 만에 완전히 진화됐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25일 오전 8시 48분을 기해 아리셀 공장 화재 진화 작업을 마쳤다고 밝혔다. 소방당국은 상황 판단 회의 결과 연기가 보이지 않아 화재가 재발할 위험이 없다고 보고 이 같이 판단했다. 다만 현장에서 실종자를 찾기 위한 수색은 이틀째 계속되고 있다. 소방당국은 조명등이 설치된 조연 차량 3대를 화재 현장 인근에 세워두고 연락이 두절된 1명을 찾기 위해 공장 내부에서 밤샘 수색 작업을 벌였다. 소방당국은 이날 인원 100여명과 구조견 두 마리를 투입해 실종자를 찾을 때까지 인명 수색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수색 과정에서 2차 사고가 없도록 예방 대책도 철저히 할 계획이다. 앞서 화재 현장에 내려졌던 비상 발령은 이날 0시 42분을 기해 해제됐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공장 화재 발생 9분 만인 전날 오전 10시 40분께 대응 1단계(3∼7개 소방서에서 31∼50대의 장비를 동원하는 경보령)를 발령하고, 오전 10시 54분께 비상 발령을 대응 2단계(8∼14개 소방서에서 51∼80대의 장비를 동원하는 경보령)로 확대한 바 있다. 소방당
경기 화성시 소재 일차전지 제조업체인 아리셀 공장에서 24일 화재가 발생해 다수의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가운데 20명이 넘는 직원이 여전히 연락 두절 상태다. 이날 경찰과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화재 발생 4시간여가 지난 오후 2시 30분 현재 연락이 닿지 않는 아리셀 공장 근로자는 총 21명이다. 불은 아리셀 공장 11개 동 중 3동 2층에서 발생했다. 3동에서 일한 근무자는 67명으로, 화재 당시 1층에서 15명이, 2층에서 52명이 각각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 21명이 불길을 미처 피하지 못한 채 건물 내부에 고립된 것으로 소방당국은 추정하고 있다. 현재까지 파악된 인명피해는 사망 1명, 중상 2명, 경상 4명이지만, 향후 인명피해 규모가 상당히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사망자는 60대 남성이며, 발화 지점인 3동 2층에서 발견됐다. 이 밖에 부상자 6명 역시 30~60대 남성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나온 사상자는 모두 한국인이다. 소방당국은 공장 안으로 진입해 실종자를 수색하는 데에 집중할 방침이다. 앞서 이날 오전 10시 31분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소재 아리셀 공장 3동에서 불이 났다. 이 공장 3동에는 리튬 배터리 완제품 3만 5천여개가 보관
제주 유일의 승전사 을묘왜변(1555년) 이후 40년이 채 안 돼 발발한 임진왜란(1592∼1598년). 조선을 거쳐 중국을 집어삼키려는 일본의 침략 야욕으로 인해 7년간 한반도 전체가 전쟁터가 됐고, 온 국토는 황폐해졌다. 조선의 백성 절반 가까이가 목숨을 잃었던 참혹한 전쟁이었지만 불행 중 다행히도 제주도는 무사할 수 있었다.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임진왜란 당시 제주가 무사할 수 있었던 이유와 당시 제주의 숨은 영웅들을 알아본다. ◇ 임진왜란 속 제주의 숨은 영웅들 1592년 임진년 봄 임진왜란이 발생했다. 일본은 부산에서 한양까지 최단 거리로 진격해 조선의 왕을 사로잡고 전쟁을 단숨에 끝내려 했다. 4월 13일 부산에 상륙한 왜군은 조선군을 격파하며 파죽지세로 북상, 20일 만인 5월 3일 한양에 무혈 입성했다. 사흘 전 선조가 의주로 피난 간 뒤였다. 일본의 당초 계획대로 되지 않은 전쟁은 결국 장기전에 돌입했다. 임진왜란 초기 제주가 무사할 수 있었던 것은 일본의 침공 우선순위에 제외됐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왜군이 언제 들이닥칠지 모르는 상황에서 제주 백성들은 공포에 떨어야 했다. 당시 제주 섬 전체를 책임지고 다스렸던 목사(牧使)는 이경록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