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오래 전, 어딘가에 써두었던 것인데, 우연히 발견하였다. 하루 종일 고개를 수그리고 졸고 계신 어머니를 지켜보며 시간을 헤아리는 요즘, 왜 김광협 시인께서 ‘유자꽃 피는 마을’에서 ‘백발을 인 조모님은 조을고’라고 읊었는 지를 알겠다. 어머니와 하루 하루를 버텨내면서, ‘사는 게 무언가’ 싶은 생각을 할 때가 많다. 정신이 좋으셨을 때 늘 하시던 말씀대로 어머니의 삶을 요약하면, ‘싸는 물 이시민 드는 물 이신다’가 아닐까 싶다. 제주도 해녀, 어머니들의 삶이다. 그 어머니와 20년을 같이 살아내는 동안, 나 또한 이 말에 인생사를 싣게 되었다. ‘밭을 폴 때 이시민, 살 때도 이신다’는 말과 함께. 이 긍정의 정신, 인내, 기다림....으로 우리 어머니가 살아 낸 인생. 이제는 내가 그 바통을 그러쥐고 달려갈 차례다. 그런데, 벌써 지쳐버린 나. 이 글을 쓰는 동안 다시 어머니의 이름으로 일어서고저! 어렸을 적, 우리 동네에는 왜 그렇게 눈이 많이 내렸을까? 겨울밤은 왜 그다지도 살이 에이게 추웠을까? 새벽 서 너 시, 어머니가 “정옥아, 밤바르 가게” 하고 소리쳐 깨우면, 나는 그 밤바르가 죽기보다 싫었다. 밤바르는 겨울밤에 썰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