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휴전협정 60주년이다. 한국전은 1950년 6월25일 발발, 53년 7월 27일 협정을 체결해 정전체제로 전환됐다. 1129일 동안 지속된 6·25전쟁은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과 함께 비무장지대와 군사분계선이 설치돼 숨을 돌렸다. 남·북한은 그후 60년 동안 휴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휴전 후 많은 일들이 남과 북에서 일어났다. 포토저널리스트들은 그동안 남과 북, 그 중간 지점인 판문점에서 일어난 일들에 대해 기록했다. 그리고 그 역사의 기록들을 펼쳐 보였다.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동강사진박물관을 비롯한 영월읍 일대에서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 주관으로 ‘2013 동강국제사진제’가 열리고 있다. <제이누리>는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의 제공으로 휴전협정 60주년을 기념한 사진전 ‘기억과의 전쟁’을 참여 작가별로 연재한다. 제주를 여는 창! <제이누리>가 국내에서 유일하게 독점 게재하는 사이버 전시회다. / 편집자 주 윤석봉 Yun Suk-bong 작가노트. 초등학교 4학년.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군들이 중공군에 밀려 후퇴하던 1950년. “어린시
한국전쟁 휴전협정 60주년이다. 한국전은 1950년 6월25일 발발, 53년 7월 27일 협정을 체결해 정전체제로 전환됐다. 1129일 동안 지속된 6·25전쟁은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과 함께 비무장지대와 군사분계선이 설치돼 숨을 돌렸다. 남·북한은 그후 60년 동안 휴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휴전 후 많은 일들이 남과 북에서 일어났다. 포토저널리스트들은 그동안 남과 북, 그 중간 지점인 판문점에서 일어난 일들에 대해 기록했다. 그리고 그 역사의 기록들을 펼쳐 보였다.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동강사진박물관을 비롯한 영월읍 일대에서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 주관으로 ‘2013 동강국제사진제’가 열리고 있다. <제이누리>는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의 제공으로 휴전협정 60주년을 기념한 사진전 ‘기억과의 전쟁’을 참여 작가별로 연재한다. 제주를 여는 창! <제이누리>가 국내에서 유일하게 독점 게재하는 사이버 전시회다. / 편집자 주 박일 PARK IL 작가노트 2003년 5월7일 오후4시쯤 북한부에서 “내일 북한 탈북자들이 중국 선양의 외국대사관 진입을 시도한
▲ 13일 오전 제주도청 광장에서 열린 '도민 60만시대 개막' 기념행사에서 인구 60만시대 개막 퍼포먼스가 이뤄지고 있다. / 제주도 제공 #1. 5살, 2살 자녀를 둔 이수경(31)씨. 오랜만에 외출을 해보려고 아이들을 데리고 밖으로 나왔다. 그러나 마땅히 갈 곳이 없어서 대형마트에 갔다. 그나마 마트에 가면 유아휴게실이나 모유수유실이 있어서 급한 경우가 생겼을 때 편리하다. 이씨는 “마트 외에는 아이들을 데리고 나갈 곳이 없다”며 “모유수유실은 커녕 기저귀교환대가 설치된 곳이 거의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2. 1살 아들을 데리고 제주도로 여행 온 배우리(33)씨. 관광지를 둘러보다가 경악했다. 그 흔한 모유수유실을 찾기가 하늘의 별따기였다. 배씨는 “3박4일 여행동안 모유수유실이 있는 여행지는 단 1곳 뿐이었다”며 “차 안에서 먹일 수 밖에 없었다. 휴양지로 유명한 제주도가 이런 기본 시설을 안해놓았다니 놀라울 뿐”이라고 말했다. 제주도 인구가 60만명을 돌파하며 도 전체가 축제 분위기다. 그러나 제주의 경제를 이끌어야 할 핵심경제활동 인구수가 꾸준히 감소하면서
▲ 10일 오후 제주 그랜드호텔 컨벤션홀에서 <제이누리> 출판법인 JNN의 첫 출판물 신구범 전 제주도지사의 회고록 '삼다수 하르방, 길을 묻다' 출판기념회가 성황 속에 열리고 있다. <제이누리> 출판 법인 JNN의 첫 출판물 신구범 전 제주도지사의 회고록 ‘삼다수 하르방, 길을 묻다’ 출판기념회가 대성황리에 열렸다. 10일 오후 3시부터 1시간 30여분 동안 제주 그랜드호텔 컨벤션홀에서 열린 출판기념회에는 김우남 국회의원, 양성언 제주도교육감, 김한욱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이사장, 이군보·김태환 전 제주도지사, 장정언·김용하 전 제주도의회 의장, 신관홍·김승하·이석문·신영근 도의원, 고희범 민주당 제주도당위원장, 신상범 제주문화원장, 김호성·양조훈 전 제주도 부지사, 김경택 전 JDC이사장, 부만근 전 제주대총장, 부봉하 전 제주도의회 부의장, 강택상·김방훈 전 제주시장, 김형수 전 서귀포시장, 박승봉 전 제주시 부시장, 김완근·장동훈 전 도의원, 이유근 제주한마음병원 원장, 양영철 한국지방자치학회장, 송
한국전쟁 휴전협정 60주년이다. 한국전은 1950년 6월25일 발발, 53년 7월 27일 협정을 체결해 정전체제로 전환됐다. 1129일 동안 지속된 6·25전쟁은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과 함께 비무장지대와 군사분계선이 설치돼 숨을 돌렸다. 남·북한은 그후 60년 동안 휴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휴전 후 많은 일들이 남과 북에서 일어났다. 포토저널리스트들은 그동안 남과 북, 그 중간 지점인 판문점에서 일어난 일들에 대해 기록했다. 그리고 그 역사의 기록들을 펼쳐 보였다.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동강사진박물관을 비롯한 영월읍 일대에서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 주관으로 ‘2013 동강국제사진제’가 열리고 있다. <제이누리>는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의 제공으로 휴전협정 60주년을 기념한 사진전 ‘기억과의 전쟁’을 참여 작가별로 연재한다. 제주를 여는 창! <제이누리>가 국내에서 유일하게 독점 게재하는 사이버 전시회다. / 편집자 주 이창성 Lee Changsung 작가노트. 1980년 5월. 매년 5월이면 광주항쟁 기간 중에 마주쳤던 시민군들의 그 형형한 눈빛을 잊을 수
한국전쟁 휴전협정 60주년이다. 한국전은 1950년 6월25일 발발, 53년 7월 27일 협정을 체결해 정전체제로 전환됐다. 1129일 동안 지속된 6·25전쟁은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과 함께 비무장지대와 군사분계선이 설치돼 숨을 돌렸다. 남·북한은 그후 60년 동안 휴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휴전 후 많은 일들이 남과 북에서 일어났다. 포토저널리스트들은 그동안 남과 북, 그 중간 지점인 판문점에서 일어난 일들에 대해 기록했다. 그리고 그 역사의 기록들을 펼쳐 보였다.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동강사진박물관을 비롯한 영월읍 일대에서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 주관으로 ‘2013 동강국제사진제’가 열리고 있다. <제이누리>는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의 제공으로 휴전협정 60주년을 기념한 사진전 ‘기억과의 전쟁’을 참여 작가별로 연재한다. 제주를 여는 창! <제이누리>가 국내에서 유일하게 독점 게재하는 사이버 전시회다. / 편집자 주 ▶라오류(老六) Lao Liu 작가노트 북한과 관련해 어떻게 말을 해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표현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사실 많은 사람들이
한국전쟁 휴전협정 60주년이다. 한국전은 1950년 6월25일 발발, 53년 7월 27일 협정을 체결해 정전체제로 전환됐다. 1129일 동안 지속된 6·25전쟁은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과 함께 비무장지대와 군사분계선이 설치돼 숨을 돌렸다. 남·북한은 그후 60년 동안 휴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휴전 후 많은 일들이 남과 북에서 일어났다. 포토저널리스트들은 그동안 남과 북, 그 중간 지점인 판문점에서 일어난 일들에 대해 기록했다. 그리고 그 역사의 기록들을 펼쳐 보였다.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동강사진박물관을 비롯한 영월읍 일대에서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 주관으로 ‘2013 동강국제사진제’가 열리고 있다. <제이누리>는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의 제공으로 휴전협정 60주년을 기념한 사진전 ‘기억과의 전쟁’을 참여 작가별로 연재한다. 제주를 여는 창! <제이누리>가 국내에서 유일하게 독점 게재하는 사이버 전시회다. / 편집자 주 ▶김연수 Kim Yeonsoo 작가노트 한반도의 허리 DMZ(비무장지대)와 NLL(북방한계선). 평화의 상징 하얀 천사들이 이곳을 지킨다.
한국전쟁 휴전협정 60주년이다. 한국전은 1950년 6월25일 발발, 53년 7월 27일 협정을 체결해 정전체제로 전환됐다. 1129일 동안 지속된 6·25전쟁은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과 함께 비무장지대와 군사분계선이 설치돼 숨을 돌렸다. 남·북한은 그후 60년 동안 휴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휴전 후 많은 일들이 남과 북에서 일어났다. 포토저널리스트들은 그동안 남과 북, 그 중간 지점인 판문점에서 일어난 일들에 대해 기록했다. 그리고 그 역사의 기록들을 펼쳐 보였다.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동강사진박물관을 비롯한 영월읍 일대에서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 주관으로 ‘2013 동강국제사진제’가 열리고 있다. <제이누리>는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의 제공으로 휴전협정 60주년을 기념한 사진전 ‘기억과의 전쟁’을 참여 작가별로 연재한다. 제주를 여는 창! <제이누리>가 국내에서 유일하게 독점 게재하는 사이버 전시회다. / 편집자 주 ▶박상문 Park Sangmoon 작가노트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 국가 중 유일하게 유엔군의 일원으로 6·25전쟁에 참전했다. 에
한국전쟁 휴전협정 60주년이다. 한국전은 1950년 6월25일 발발, 53년 7월 27일 협정을 체결해 정전체제로 전환됐다. 1129일 동안 지속된 6·25전쟁은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과 함께 비무장지대와 군사분계선이 설치돼 숨을 돌렸다. 남·북한은 그후 60년 동안 휴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휴전 후 많은 일들이 남과 북에서 일어났다. 포토저널리스트들은 그동안 남과 북, 그 중간 지점인 판문점에서 일어난 일들에 대해 기록했다. 그리고 그 역사의 기록들을 펼쳐 보였다.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동강사진박물관을 비롯한 영월읍 일대에서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 주관으로 ‘2013 동강국제사진제’가 열리고 있다. <제이누리>는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의 제공으로 휴전협정 60주년을 기념한 사진전 ‘기억과의 전쟁’을 참여 작가별로 연재한다. 제주를 여는 창! <제이누리>가 국내에서 유일하게 독점 게재하는 사이버 전시회다. / 편집자 주 ▶김희중 (Edward Kim) 작가노트 빨간 수건을 목에 두르고 북을 치는 중학생들이 경직된 표정으로 교정에서 교련훈련을 받고 있다. 19
한국전쟁 휴전협정 60주년이다. 한국전은 1950년 6월25일 발발, 53년 7월 27일 협정을 체결해 정전체제로 전환됐다. 1129일 동안 지속된 6·25전쟁은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과 함께 비무장지대와 군사분계선이 설치돼 숨을 돌렸다. 남·북한은 그후 60년 동안 휴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휴전 후 많은 일들이 남과 북에서 일어났다. 포토저널리스트들은 그동안 남과 북, 그 중간 지점인 판문점에서 일어난 일들에 대해 기록했다. 그리고 그 역사의 기록들을 펼쳐 보였다.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동강사진박물관을 비롯한 영월읍 일대에서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 주관으로 ‘2013 동강국제사진제’가 열리고 있다. <제이누리>는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의 제공으로 휴전협정 60주년을 기념한 사진전 ‘기억과의 전쟁’을 참여 작가별로 연재한다. 제주를 여는 창! <제이누리>가 국내에서 유일하게 독점 게재하는 사이버 전시회다. / 편집자 주 ▶김천길(金千吉) Kim Chonkil 작가노트 나는 1950년 6.25전쟁 때 AP통신과 인연을 맺은 후 1987년 퇴직하기까지 40년 가
한국전쟁 휴전협정 60주년이다. 한국전은 1950년 6월25일 발발, 53년 7월 27일 협정을 체결해 정전체제로 전환됐다. 1129일 동안 지속된 6·25전쟁은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과 함께 비무장지대와 군사분계선이 설치돼 숨을 돌렸다. 남·북한은 그후 60년 동안 휴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휴전 후 많은 일들이 남과 북에서 일어났다. 포토저널리스트들은 그동안 남과 북, 그 중간 지점인 판문점에서 일어난 일들에 대해 기록했다. 그리고 그 역사의 기록들을 펼쳐 보였다.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동강사진박물관을 비롯한 영월읍 일대에서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 주관으로 ‘2013 동강국제사진제’가 열리고 있다. <제이누리>는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의 제공으로 휴전협정 60주년을 기념한 사진전 ‘기억과의 전쟁’을 참여 작가별로 연재한다. 제주를 여는 창! <제이누리>가 국내에서 유일하게 독점 게재하는 사이버 전시회다. / 편집자 주 ▶구와바라 시세이 (桑原史成·Kuwabara Shisei) 작가노트 내가 한국을 취재하기 위해 처음으로 한국 땅에 발을 디딘 것
22 대 1, 12 대 1. 대학의 입시경쟁이 아니다. 그렇다고 대기업 취업 경쟁도 아니다. 자천, 타천 내로라하는 인사들이 지원한다.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이사장 자리의 경쟁률이다. 지난 22일 마감된 6대 JDC 이사장 공모에서 모두 12명이 지원했다. 지원자는 강지용(61) 새누리당 서귀포시 당협 위원장, 송용찬(61) 제주항공우주박물관 프로젝트 매니저(PM), 김한욱(65) 전 제주도 행정부지사, 양우철(74)·김용하(64) 전 제주도의회 의장, 김국주(67) 전 제주은행장, 고성규(65) 전 JDC 투자사업본부장, 고승익(55) 제주관광학회장, 허정옥 전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사장, 최용복 제주대 관광개발학과 교수, 김택남 전 제민일보 회장, 송용근씨 등이다. 모두 제주지역에서 한 가닥(?) 하거나 했던 정치·경제·행정·학계·언론계 등 유명 인사들이다. 이번 6대 이사장 공모에는 서류심사에서 절반이 탈락했고, 27일 면접심사에서는 송용찬, 김한욱, 고성규 후보가 예선전 최종 관문을 통과해 본선에서 경쟁하게 됐다. 공공기관운영위원회는 과연 누구를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추천할지 궁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