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진호(長津湖) 전투? 1950년 11월 26일부터 12월 13일까지 함경남도 개마고원 장진호 부근에서 미 제1 해병사단 등 3개 대대가 중공군 7개 사단(12만 명 규모)의 포위망을 뚫고 함흥으로의 철수에 성공한 작전. 6·25 전쟁에서 가장 치열했던 전투로 꼽힌다. <화면제공> 유튜브
▲ 16일 밤 추자도 대서항에서 제5회 추자도 참굴비 대축제 개막식이 열리고 있다. / 사진 = 제주시 제공 ▲ 개막식이 열리는 16일 밤 추자항에서 개막 축하 어선 퍼레이드가 열리고 있다. / 사진 = 제주시 제공 ▲ 제5회 추자도 참굴비 대축제가 16일 개막됐다. 추자출신의 한 예술가가 축하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 사진 = 제주시 제공 ▲ 추자도 참굴비 대축제가 열리는 추자면 대서항에서 맨손으로 광어·방어 잡기가 열렸다. 한 참가자가 광어를 들어보이고 있다. / 사진 = 제주시 제공 ▲ 맨손으로도 광어를 잡을 수 있어요. / 사진 = 제주시 제공 ▲ 맨손으로 광어·방어 잠기 행사에서 참가자들이 잡은 광어 등을 회로 썰고 있다. / 사진 = 제주시 제공 ▲ 추자도 대서항에서 맨손으로 광어·방어 잡기 행사가 열리고 있다. / 사진 = 제주시 제공 ▲ 풍물패들이 추자도 참굴비 대축제 축하 퍼레이드를 펼치고 있다. / 사진 = 제주시 제공 ▲ 관광객들이 참굴비 엮기 체험을 하고 있다. / 사진 = 제주시 제공
▲ 16일 밤 제주시 용연계곡에서 2012용연선상음악회가 열렸다. 취타대가 용연다리에서 개막을 알리고 있다. / 사진 = 제주시 제공 ▲ 제주교향악단의 반주와 연합합창단의 함께 화음을 선보이고 있다. / 사진 = 제주시 제공 ▲ 제주문화원이 주최한 이번 용연선상음악회에 많은 시민들이 초여름 밤 선인들의 풍류를 즐겼다. / 사진 = 제주시 제공 ▲ 제주의 전통 땟목인 테우를 타고 선인들이 즐겼던 음악을 / 사진 = 제주시 제공 ▲ 아름다운 용연계곡을 배경으로 선보였다. / 사진 = 제주시 제공
15일 오후 추자도 참굴비 축제 전야제 행사장에서 복어를 먹은 주민과 관광객 등 9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 30일 '제이누리 의료자문위원회'가 제이누리 뉴스콘텐츠국 사무실에서 출범식을 갖고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제주사회의 건강공동체 구현을 위한 제이누리 의료자문단이 출범했다. 제주를 여는 창! 제이누리는 30일 오후 1시 제주도내 의료 전문인력과 본사 임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이누리 의료자문위원회’ 출범식을 가졌다. 제주대와 제주대학병원 교수진, 제주도내 종합병원 및 각급 병·의원 의료인 등 의료·학계 인사 27명이 망라됐다. 김군택 제주도의사회장 등 제주도내 의료계 임원진 등도 참여했다. 의료자문위 위원장에는 송동훈 연세피부과 원장이 선출됐다. 이에 따라 제이누리는 창간 6개월여만에 의료분야 독립 자문위원회를 둔 제주도내 유일 언론사로 자리매김됐다. 제이누리는 현재 의료자문위원회와 별개로 경영지원위원회, 운영위원회, 자문위원회를 꾸리고 있다. 또 독자권익 보호를 위한 독자권익위원회와 변호사가 참여하는 법률자문단도 따로 두고 있다. 의료자문위원회는 이르면 6월 하순부터 제이누리 메인페이지에서 ‘메디컬포커스’ 공간을 장식한다. 진료실에서 벌어진 이야기와 건강 Q&A 코너, 각종
[조인스=헤럴드생생뉴스]수산전통식품명인 제 2호 주인공이 제주에서 조만간 탄생될 것으로 보인다. 1996년 숭어의 어란 제조기능 보유자인 김광자(86·전남 영암)씨에 이은 수산전통식품명인 지정이 제주옥돔 가공의 산증인 이영자씨(59·소문난제주옥돔영어조합법인 대표)에게 이어질지 제주지역민은 물론 국내 수산가공업계의 관심이 드높다. 화제의 주인공 이영자씨는 1974년 제주동문재래시장에서 39년째 제주옥돔 가공에 평생을 바쳐온 옥돔영어조합법인 대표이사. 이 대표는 전남 나주 영산포에서 김치와 젓갈 장사를 하던 친정부모를 따라 다섯살 때 제주로 이주, 여섯 형제의 장녀로서 생활을 책임지며 어린 나이에 수산물 가공기술을 전수받았다. 옥돔가공은 물간이라 해 소금물에 옥돔을 약 2시간가량 담군 후 건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영자 대표는 3~5년 된 천일염을 사용하고 직접 손으로 문질러 간하는 전통적인 건염(乾鹽)을 고수할 뿐만 아니라 12시간 이상 숙성해 3일에 걸쳐 가공하는 등 차별화된 기술로 관심을 끈다. 특히 이 대표는 1980년대 후반 도내 최초로 개별포장박스 제작 및 택배시스템(우체국택배)을 도입해 국내 소비자들에게 &lsq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