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코스는 가시리 녹산로 일대 '쫄븐 갑마장길'로서 예전에 말을 기르던 갑마장이 있던 지역으로 가시천과 따라비오름, 잣담(잣성)을 아우르는 길입니다."
■제주의 말이야기
우리나라의 재래마는 체구가 작았다. 체고가 3자(90cm)정도였고 주로 농경에 이용됐다. 토마, 향마, 국마 등으로 불렀다. 중국의 문헌에선 말을 타고도 과일나무 밑을 지난다고 해서 과하마(果下馬)라고 칭한 기록이 있다.
지금의 제주마는 체고(어깨높이)가 암말은 117cm, 숫말은 115.5cm 정도다.
'달단마'라고도 불리는 몽골말은 키가 4자~4자반(120~135cm)이고, 서역의 대완마(대완-지금의 우즈베키스탄)는 6자~7자(180~200cm)로서 덩치가 크고 몸집이 날렵한 말이었다.
몽골이 말 생산기지로서 탐라를 지배하는 100년간 재래마인 토마, 달단마, 대완마, 그리고 이들의 혼혈종인 조랑말이 혼재했다. 이들 말이 점차 세월이 흐르면서 제주의 지형과 기후에 적응해 제주 고유의 독립된 혈통인 제주마가 생겨난다.
제주마의 우수성은 태조 이성계가 타고 다녔다는 8마리의 말(팔준마八駿馬) 중 '응상백'이 말해준다.
세종은 조선 3대 화가 중 하나인 안견에게 팔준마의 그림을 그리게 하고, 집현전의 학사들에게 찬(贊=인물이나 사물을 기리어 칭찬하는 글)을 짓게 했다고 한다. 안견의 팔준도는 현재 기록으로만 남아있다. 현존 화첩은 안견의 팔준도를 승계한 조선후기 작품으로 작자는 미상이다.
예전에 제주읍 일도리 일대 사라봉 기슭을 끼고 넓은 지역에 고수(古藪)라는 마장(馬場)이 있었다. 마장은 수천 마리의 마필(馬匹)을 방목했다. 보통 고마목장으로 언급되어진다. 말들이 넓은 초지를 뛰어노는 모습을 보고 영주 12경의 하나인 고수목마(古藪牧馬)라 하였다. 지금은 일도이동 주민센터 근처 '고마로'라는 지명으로만 남아있다.
그러나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우수한 제주말들은 징발이나 진상, 관리의 수탈로 인해 씨가 마르게 되고 점차 왜소하게 변모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위사진이 그의 방증이다.
현임종의 회상기 '속 보고 듣고 느낀대로'에 의하면 해방 후 제주에선 일본군이 타던 호마(胡馬-중국 동북부지역의 크고 날렵한 말)들을 두고 갔는데 일반 민가에 분양한 적이 있다. 그러나 호마는 먹이도 많이 먹을 뿐더러 촐(풀, 건초)은 잘 안 먹고, 사람도 먹기 부족한 콩, 보리 등을 줘야하고 밭일에도 다루기 쉽지 않아 식용으로 처리됐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그간 제주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달리 없다가 1986년에 제주마를 천연기념물 347호로 지정해 보호, 육성대책을 실시했다.
1990년 제주에 경마장(현 렛츠런파크)이 생겼고, 경주마는 순수 제주마로 국한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그러나 경주마로 순수 제주마를 활용하기엔 개체수도 부족하고, 경마로서의 재미도 반감되는 문제가 생긴다. 결국 제주마와 서양의 더러브렛 종의 혼혈종인 '한라마'도 경주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한라마는 제주마의 특성과 더러브렛의 날렵한 체형을 고루 갖추고 있어 승마용으로도 인기가 많은 종이다.
그러나 점점 더러브렛의 피가 더 많이 섞인 한라마들이 나오면서 체격이 커져 경마에 체고를 제한하기에 이른다. 결국 2023년에 다시 순수 제주마로 경마를 실시한다는 원칙을 세우게 된다. 이는 또한 일반 승마용으로 인기가 많은 한라마 산업의 위축 등 문제발생의 소지가 있어 논란이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김승욱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