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조한필의 세상훑기(1)

며칠 전 제주도로부터 택배가 천안 집에 도착했다. 그 속엔 아내가 1주일간 애 태우며 찾던 물건이 들어 있었다.

 

이달 초 아내는 선배 2명과 제주도 3박4일 여행을 다녀왔다. 그 때 어디선가 안경을 잃어버린 것이다. 렌트카 회사와 묵었던 호텔 등에 전화하는 등 법석을 떨었지만 허사였다. “안경이 없어 TV보기도 힘들다”며 푸념을 늘어놓더니 안경을 새로 맞추러 나가기 직전 아내는 다시 렌트카 회사에 전화를 걸었다.

 

아내 목소리가 갑자기 밝아졌다. “예~. 5만원권 무늬 안경닦이가 들어있는 무테 안경, 맞아요. 감사합니다.”

 

렌트카 회사에서 제주공항까지 태워다 준 차량에 두고 내린 것을 뒤늦게 발견한 것이다. 아내는 렌트카 회사의 세심함에 연거푸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안경을 되찾은 것은 제주도가 아내에게 준 여행의 즐거움 외의 큰 선물이었다.

 

 

 내가 제주도를 처음 찾은 건 ‘서울의 봄’이 있었던 1980년이었다. 그 해 5월 대학가는 시위의 연속이었다. 서울역 앞 대규모 시위가 있은 후 비상계엄령이 전국으로 확대 실시됐고, 광주 민주화 운동이 벌어졌다. 정국은 꽁꽁 얼어 붙었다. 대학생은 서울 시내를 걷는 것 조차 힘들 때였다. 수시로 검문, 검색이 실시됐다. 검색 때문에 가방을 들고 종로거리를 한 걸음 내딛기도 힘들었다. 거리에 여럿이 모여 말하는 것도 위험시 되던 때였다.

 

여름이 찾아오고 푹푹 찌는 더위가 ‘좌절된 청춘’을 더욱 끓게 만들었다. 탈출구가 필요했다. 고향 친구들과 생각해 낸 것이 제주도였다. 3명이 함께 떠나기로 했다. 여행 기간만은 ‘시국에 대한 얘기는 절대 하지 않는다’는 것에 모두 찬성했다. 현재로부터의 도피를 꿈꿨다.

 

◇서너 병씩 먹은 멀미약 탓에

 

당시는 비행기 값이 비싸 목포까지 기차로 간 후 배를 타고 가기로 했다. 3명은 고향집이 있는 대전에서 만나, 야간 기차를 타고 목포에 도착했다.

 

목포에서의 기억은 두 가지. 1980년 8월, 처음 나온 담배 ‘SUN(선)’을 목포에서 처음 봤다. 흰 포장지에 붉은 글씨의 상호 표시가 몹시도 강렬했다. 또 한 가지는 과다한 멀미약 복용.

 

일행 중 한 명만 빼고 배를 타고 큰 바다에 나가 본 적이 없었다. “2년 전 조그만 배를 타고 제주도에 간 적이 있는 데 모두 토하고 야단 났었어.” 이 제주도 여행 경험담이 문제였다.

 

우리는 한 약국에서 물약으로 된 멀미약 한 박스를 샀다. 배 타기 전 3명이 모두 나눠 마셨다. ‘만사 불여 튼튼.’

 

그러나 배는 컸다. 대형 페리호였다. ‘제주도 유경험자’가 타봤다는 통통배(아리랑호라고 기억)수준이 아니었다. 어스름 무렵 목포를 출발해 밤바다를 통과해 다음 날 아침 제주도에 도착하게 돼 있었다. 그날따라 바다는 고요했다. 이 큰 배가 목포를 출발해 인근 섬 사이를 빠져 나가는 사이, 벌써 약 기운이 돌았다. 당시 멀미약은 사람을 졸리게 하는 성분이 많았던 모양이다. 쏟아지는 졸음을 주체할 수 없어 모두 선실로 내려가 한숨 자고, 다시 갑판에 올라와 아름다운 밤바다를 구경하기로 했다. 그러나. 한참이 흘렀을까. 잠에서 깨어나 갑판에 올라가니 이미 해는 떴고 저 멀리 제주도가 보였다.

 

◇버스 차장이 남자인 게 너무 신기해

 

제주도는 외국에 온 듯한 느낌을 줬다. 야자수 등 열대성 나무는 이국적 정취를 느끼게 했다. 왠지 다른 나라에 있는 도시 같았다. 당시론 흔치 않은 외국인들을 쉽게 만날 수 있었고, 생소한 사투리도 이질감을 줬다.

 

현실의 시국 상황을 떠나 며칠 간 살기로 작정한 우리들은 이곳을 아예 외국으로 생각하기로 했다. 그렇게 작정하니 하나 하나가 새로웠다.

 

제주도에선 이동하는 데 미니 시외버스를 주로 탔다. 그런데 차장이 남자였다.(당시 다른 도시들은 차장이 여성이었다.) 남자가 버스비 걷는 돈가방을 어깨에 맨 모습이 너무 신기했다. 여행 내내 우리는 이들 흉내를 내며 큰 이유도 없이 웃고 다녔다. 그 정도만으로도 웃을 수 있는 나이였다.

 

성산포 버스 정류장에 내리니 한 아저씨가 “민박 이수과”하며 접근한다. ‘이수과’가 무슨 뜻인지도 몰랐지만 긴 바지 중 한쪽만 걷어 올린 옷차림이 특이해 우리들 관심을 끌었다. (제주도를 떠난 후에도 우리들은 이 아저씨 말투를 흉내 내며 웃곤 했다)

 

◇고등어 새끼 잡는 데 정신 팔려

 

결국 이 아저씨와의 인연으로 예정보다 하루 더 성산포에서 머물게 됐다. 이곳에선 귀중한 추억이 기다리고 있었다.

 

하루는 민박집 어린 아들이 낚싯대 비슷한 것을 메고, 자기 키 반이 넘는 양동이를 들고 나가는 걸 봤다. 민박 아저씨에게 물었더니 새벽이면 성산포구에 멸치잡이 배가 들어오는데 그 배를 따라 고등어, 갈치들이 포구까지 들어온다는 것이다. 아들은 바로 그 고기들을 잡으러 가는 길이었다.

 

우리도 급히 낚싯줄과 낚시바늘을 사서 아들을 따라 나섰다. 포구에 가니 이미 많은 동네 사람들이 고등어를 잡으러 나와 있었다. 고기잡이 배들이 환하게 포구에 불을 밝히고 잡아 온 멸치 박스들을 내려 놓고 있었다.

 

한 켠에선 포구 바닥에 떨어진 멸치를 낚시바늘에 꿰어 바다에 던졌다. 고등어 새끼들이 포구 가까이까지 접근해 낚싯대도 필요 없었다. 말 그대로 ‘물 반 고기 반’이었다. 낚시바늘을 던지면 바로 고등어가 멸치 미끼를 물고 올라왔다.

 

낚시를 해 본 적이 없는 나는 그 묵직한 손맛에 반해 버리고 말았다. 주민들은 고등어 새끼는 너무 흔해서인지 다시 놔 주고, 갈치만 양동이에 담았다. 갈치가 미끼를 물고 튀어오르며, 포구 불빛을 받아 번뜩이는 그 몸체가 어찌나 환상적이던지 30년이 지난 지금도 눈에 선하다.

 

고등어 대풍이었다. 우리는 내내 끓여 먹고 지져 먹고, 고등어를 물릴 때까지 먹었다. 성산포를 떠날 때는 고등어를 손질해 소금으로 절인 상태로 몇 마리 가지고 떠났다. 민박집 아주머니 가르침을 따른 것이었다.

 

◇중문에서 만난 7살 티모시

 

막 개발이 이뤄지던 중문에 도착했다. 해변가가 멀리 내려다 보이는 높은 지점에 텐트를 쳤다. 당시 중문엔 호텔은 고사하고 어떤 시설도 있지 않았다.

 

여행에서 가장 깊은 인상을 남기는 건 역시 사람이다. 거의 여행객이 없던 중문에선 7살짜리 외국인 꼬마 티모시를 만났다. 우리 가까이 텐트를 치고 야영하던 미국인 가족의 아들이었다. 티모시는 우리의 친구가 됐다. 아마도 당시 우리의 영어 수준에선 그 아이와의 소통이 가장 부담 없었는지도 모르겠다.

 

티모시는 우리 텐트에 수시로 놀러왔다. 최근에 새 차를 샀는지 자동차 자랑이 대단했다. “우리 차는 볼보인데 스웨덴 자동차로 성능이 아주 좋다”는 걸 늘어놨다. 당시 우리는 집에서 자동차를 소유한다는 걸 상상도 할 수 없을 때였다. 티모시가 “자동차 시트가 저절로 따뜻해진다”고 말해 우리 모두 “무슨 거짓말이냐”고 몰아붙이던 것이 기억난다.

 

지금 생각하면 웃음이 절로 난다. 당시 왜 어린 꼬마와 자동차 얘기로 열을 올렸는지.

 

그런데 그 티모시가 보고 싶다. 내 젊은 시절을 기억해 줄 것 같은 티모시와 성산민박집 아저씨가 보고 싶다.

 

그 후로 제주도를 여러 번 찾았다. 그러나 1980년 8월의 제주도처럼 강렬한 기억은 없다. 다만 제주도는 나의 22살 젊은 시절을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조한필은?=대전 출생. 고려대 사학과를 나와 동 대학원에서 한국고대사를 전공했다. 중앙일보 편집부와 전국부 기자를 지냈다. 현재는 충청타임즈 천안·아산 주재기자 겸 부국장으로 재직하면서 공주대 문화재보존학과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