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주인공 격인 현상금 사냥꾼 존 루스(커트 러셀 분)의 행적은 선뜻 ‘헤이트풀’이라는 낙인을 찍어버리기에 애매한 느낌을 준다. 루스는 ‘현상금 사냥꾼’이다. 조금 거친 직업이지만 서부개척시대에 날뛰는 무법자들을 미비한 공권력을 대신해서 잡아들이고 돈을 받아 생계를 유지하는 전문직 직업인일 뿐이다.
![영화 주인공 존 루스는 여혐주의자다.[사진|더스쿠프 포토]](http://www.jnuri.net/data/photos/20251044/art_17618722129752_25c0ee.jpg?iqs=0.7556844109380311) 
존 루스를 좀 더 설명해보자. 대부분의 현상금 사냥꾼들은 자신들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붙잡은 현상수배범들을 죽여서 데려가지만 루스의 영업원칙은 법에 규정된 대로 ‘반드시’ 생포해서 데려가 제대로 법의 심판을 받게 한다. 영화 전편을 지배하는 ‘남과 북’이나 ‘흑백’의 혐오에 사로잡히지도 않고 오직 자신의 생업에 충실하다. 어찌 보면 ‘악당’은커녕 ‘정의의 사도(使徒)’라고 해도 무방해 보인다.
그러나 영화를 따라가다 보면 루스에게 한치의 망설임도 없이 ‘헤이트풀한 악당’의 딱지를 붙이게 되는 장면이 나온다. 루스는 와이오밍주(州)를 무대로 날뛰는 갱단 ‘도밍그레이’파의 여두목인 데이지를 포획해 압송하는 중이다. 루스는 그 압송 중에 꽤 인상적인 장면들을 연출한다.
■ 장면1. 데이지를 압송해가는 루스의 마차 앞에 루스와 같은 업종에 종사하는 흑인 워런 소령(새무얼 잭슨 분)이 마차를 막고 ‘동승’을 청한다. 루스가 흑인인 워런 소령의 동승을 허락하는데, 데이지가 분노한 표정으로 “나는 흑인과 함께 타고 가기 싫다”고 항의한다.
데이지가 이의(異意)를 제기하자 루스는 곧바로 장총 개머리판으로 데이지의 머리를 사정없이 찍어버린다. 데이지 머리통 어딘가 깨졌는지 피가 주르르 흐른다. 루스는 “이 마차의 주인은 나”라고 낮게 으르렁댄다.
■ 장면2. 루스와 워런 소령, 데이지. 이들 셋이 마차를 타고 가면서 무료한 김에 잠깐 잡담을 한다. 데이지가 워런 소령에게 ‘루스는 머리가 나쁘다’는 자기 나름의 ‘인물평’을 한다. 그 순간 데이지 옆에 붙어 앉아있던 루스의 어마어마한 팔꿈치가 감히 남자에게 불경한 소리를 내뱉는 데이지의 ‘주둥이’에 불문곡직하고 무지막지하게 꽂힌다.  
데이지의 앞니가 몽땅 털리고 얼굴은 피범벅이 된다. 루스는 ‘앞으로 이것이 너와 나의 대화방식’이라고 조롱한다. 두 장면 모두 요즘 우리나라에서 심심찮게 보도되는 못난 수컷들의 ‘데이트 폭력’이나 가정폭력의 모습을 닮았다.
루스의 행태는 다분히 ‘여혐적’이다. 거칠기로 따지면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현상금 사냥꾼 워런 소령도 루스의 여성폭력에는 눈이 휘둥그레진다. ‘미니(Minie)의 잡화점’에 똬리를 틀고 있던 ‘도밍그레이’ 갱단의 무법자들조차도 루스가 여성수배범 데이지를 다루는 방식에 문제를 제기한다. 
루스는 자신이 남성 수배범이나 여성 수배범이나 ‘평등’하게 대하는 ‘남녀 평등주의자’라고 이죽댄다. 여자는 사용할 수 없는 총이 발명되기 전까지는 여자수배범도 남자수배범과 ‘평등’하게 대할 수밖에 없다는 논리를 펼친다. 자기 생각에는 그 논리가 꽤 그럴듯한지 뿌듯한 표정을 감추지 않는다.
 
![남녀 사이의 평등과 공정의 문제는 그 무엇보다 살벌하고 심각하다.[일러스트|게티이미지뱅크]](http://www.jnuri.net/data/photos/20251044/art_17618722126245_a340b0.jpg?iqs=0.7410662634895945)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이 하필 예나 지금이나 무엇 하나 ‘특별한 것’이 없는 척박한 와이오밍 주를 영화의 배경으로 택한 데엔 아무리 봐도 단 하나의 이유밖에는 없는 듯하다. 와이오밍주는 1890년에 미국의 정식 주로 편입됐지만 아직 준주(準州)시절이었던 1869년에 미국 최초, 아니 ‘무려’ 세계 최초로 모든 여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한 여권(女權)이 특별했던 지역이다. 
대개 척박한 환경에서 여성들의 생명력과 생존력은 진가를 발휘하는 모양이다. 데이지가 여자의 몸으로 수십명의 거친 사내들을 이끌고 갱단 두목을 한다는 영화적 설정이 자연스러운 곳은 아마도 와이오밍주밖에 없었을 듯하다.
‘미니의 잡화점’ 주인 ‘미니’도 여자다. 미니는 과부도 아니고 데이브라는 멀쩡한 남편이 있지만, 백수 남편을 거느리고 살면서 간판에도 당당히 자기 이름을 내건 여주인이다. 역시 ‘와이오밍적’ 설정이다.
결국 루스는 겉보기에는 ‘상남자’로 보이지만, 그 당시 기준으로 와이오밍주의 유별난 ‘여권’에 심사가 뒤틀리고 있었고, 그 뒤틀린 심사를 여자 수배범인 데이지에게 퍼부어대고 있었던 ‘못난 수컷’이었던 셈이다.
여자에게 폭력을 퍼붓는 루스의 모습이 더욱 헤이트풀한 것은 루스가 그것을 남녀평등이라고 포장하는 장면이다. 참으로 딱한 일이지만 ‘평등의 주장’은 인간들이 서로를 혐오하게 만드는 주범이다.
‘평등(Equality)’이라는 말은 모두 입에 달고 살지만, 이보다 더 오리무중의 개념은 많지 않을 듯하다. 말은 쉽지만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절대적 평등’이란 사실상 실현 불가능에 가까운 개념이다. 모든 사람은 서로 다른 무수한 조건과 요소를 갖고 태어난다. 그 수많은 ‘다름’을 똑같이 만들어 줘야 하는 ‘절대적 평등’이란 불가능하다. 
어쩔 수 없이 수많은 차이 중에서 어떤 차이는 인정하거나 혹은 무시해버리고 그 나머지 조건들만 똑같이 만들어주자는 ‘사회적 합의’을 통해서만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실질적 평등’이다. 실질적 평등은 ‘공정(Equity)’이라는 개념에 근접하지만 이 역시 실현은 난망한 개념이다. ‘사회적 합의’라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존 롤스(John Rawls)나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 등 내로라하는 수많은 ‘정의론(正義論)의 대가’들의 어마어마한 책들을 봐도 정작 어떤 조건들을 똑같이 맞춰줘야 하는 것인지 똑 떨어지는 해답을 찾을 수는 없다. 한마디로 ‘정답이 없는’ 문제다.
 
![남녀가 평등과 공정의 합의점을 찾는 것은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일러스트|게티이미지뱅크]](http://www.jnuri.net/data/photos/20251044/art_17618722122891_51484d.jpg?iqs=0.8975329179091239) 
사회의 모든 갈등의 앞에 평등과 공정의 문제가 자리 잡고 있지만, 남녀 사이의 평등과 공정의 문제는 그 무엇보다 살벌하고 심각하다. ‘인구절벽’과 ‘국가소멸론’까지 생각한다면 어쩌면 남녀 사이의 평등과 공정에 대한 사회적 합의야말로 가장 시급한 국가적 과제일지도 모르겠다.
여자와 남자가 자신이 선택한 차이가 아닌 태생적 차이를 인정하고 경쟁하고 협력할 것인지, 그 차이를 무시하고 경쟁하고 협력할 것인지가 남녀평등 문제의 가장 핵심적인 논란인 모양이다. 일부 남초들은 여자도 군대 가고, 숙직도 하고, 데이트 비용도 똑같이 나눠 내는 것이 남녀평등이라고 한다.
영화 속에서 루스가 시전하는 남녀평등 방식이다. 여자와 남자의 태생적 차이를 무시하는 것이 평등이라는 난폭한 주장을 하면 돌아오는 답은 ‘남자도 여자와 평등하게 애 낳고 키우라’라는 똑같은 폭언밖에 없다. 모두 ‘헤이트풀’한 생각과 말들일 뿐이겠다. [본사 제휴 The Scoop=김상회 정치학 박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