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필봉으로 불리는 목형산(木形山)

목성(木星)의 산형은 원활하고 하늘로 곧게 높이 솟은 산의 모습이고, 필봉(筆峰)의 기세이며 곧은 성격으로 진행하는 모습으로 정봉(頂峰)은 화형산(火形山)처럼 특별하게 섬세하거나 첨예(尖銳)하지는 않으나 봉우리가 하늘로 힘 있게 솟아 올라간 모습이다. 봉우리 정상부가 붓끝 형상이라 하여 문필봉(文筆峰)이라고도 한다.
산형은 바라보는 법은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형상이 수시로 변한다. 산의 형상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오성(五星)이 결정된다. 산의 형태가 모두 오성의 모양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성이 변화하는 산의 형태를 아홉 가지 별의 형태인 구성(九星), 즉 탐랑(貪狼), 거문(巨門), 녹존(祿存), 염정(廉貞), 문곡(文曲), 무곡(武曲), 좌보(左輔), 우필(右弼), 파군(破軍)의 별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것도 모두 함축하면 오성에 귀속된다.
여기에서 탐랑(貪狼)과 좌보(左輔)는 목산(木山)의 변형을 의미한다. 목형산(木形山)의 성격은 곧고 대체로 맑고 귀(貴)한 것을 주재한다. 이러한 산의 정기를 받게 되면 문인, 학자 등 청고(淸高)하고 귀한 사람이 나오게 된다. 산의 성격은 곧고 불쑥 솟는 형국으로 힘이 따르며 산의 중간 복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가지 용(龍), 즉 산줄기가 많이 퍼지는 편이다. 목형산은 문필의 기운이 왕성하므로 공부나 학문에 전념할 때 목형산을 오르면 더욱 좋다.
▲ 불꽃처럼 타오르는 모양의 화형산(火形山)

화성(火星)은 마치 활활 타오르는 불꽃과 같은 모양으로 산봉우리가 첨예한 모습을 하는 산체이다. 화형산(火形山)이 맑고 청명(淸明)하면 재능 있는 화가(畵家)나 예술가가 나온다. 화형(火形)의 산 모양은 산세가 매우 가파르고 무리를 이룬 첨예한 돌과 바위로 이루어진 산이며 그 기세가 하늘을 찌를 듯하고 필봉(筆峰)과 같다.
목형산(木形山)과 화형산(火形山)의 기세가 비슷하여 모두 필봉의 성정을 띠고 있어서 자칫 혼돈할 수 있지만, 목형산은 흙, 즉 토(土)를 중심으로 곧게 일어나 정봉(頂峰)이 원활하며 기상이 청수(淸秀)하고 그다지 첨예하지는 않지만, 화산(火山)은 예리한 불꽃의 기상을 안고 가파르고 날카로운 형상을 하고 있다.
대체로 화형산은 암벽과 바위, 암석이 산포한 돌산으로 기운이 흩어져 있으므로 혈(穴)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외형은 화려하고 아름다우나 실속은 없다. 산의 성격은 건조하며 섬세하고 날카로운 면을 지니지만, 또한 활동력이 부족하고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거나 내성적인 성격의 소유자는 화형산을 오르며 심신을 단련하는 것도 좋다.
▲ 오복(五福)의 기운을 겸비한 토형산(土形山)

토성(土星)은 가운데가 편편한 모습으로서 마치 한자로 ‘한 일(一)자’ 형태라고도 하여 일자문성(一字文星)의 모습을 말하고, 산의 윗부분이 지붕이나 평상처럼 평평한 모습을 하고 있고 토형산(土形山)의 정기를 타고난 사람은 대체로 목(木)․화(火)․금(金)․수(水)의 네 가지 기운의 성격을 모두 포용하는 기질을 갖는다.
흙은 오행에서 만물을 포용하고 기르는 성정을 대표하며 대체로 토형(土形)의 산은 기운이 충만하고 후중하여 왕후장상(王侯將相)이 나오고 오복(五福)을 겸비한다. 또한, 산의 형태가 마치 일자(一字)와 같기도 하여 일자문성(一字文星)이라고도 부르며 균형감각과 안정감을 지닌 편안한 산이다. 산의 성격은 후중하다.
흙의 타고난 본질과 성정은 만물을 양육하는 자양분이며 만물을 잉태하는 어머니와 같다. 대체로 길짐승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혈(穴)을 맺는 곳이 비교적 이마(額), 코(鼻), 귀(耳), 배(腹), 꼬리(尾) 등에 있다고 본다. 뿔은 감각이 둔한 곳이므로 좋지 않다. 성격이 예민하고 날카로우며 조바심이 많은 사람들은 토형의 산을 자주 오르면 원만하고 포용심의 기운을 얻는데 좋다.
▲ 부(富)한 기운을 발산하는 금형산(金形山)

금성(金星)은 산봉우리가 둥글고 풍부하며 마치 종 또는 가마솥의 뚜껑 모양과 흡사하다. 혹은 철모나 바가지를 엎어놓은 것처럼 둥그스레하니 들판에 곡식을 많이 쌓아 둔 상이다. 다른 말로 부봉사(富峰砂)라고도 하며 산에 청명한 기운이 감돌면 큰 사업가나 기업가, 충신, 부장 등이 나온다.
산의 성격은 둥글고 원만하며 밝고 맑은 편이다. 몸체의 주위가 풍만하고 정결하며 목형산(木形山)처럼 산의 가지가 여러 갈래로 많이 퍼져 나가는 편이다. 금성의 낮은 산 모양은 여인의 예쁜 눈썹처럼 생겼다고 하여 아미형(蛾眉形)이라 부른다. 중간 높이의 산 모양은 마치 떠오르는 달의 형상과 같다고 하여 반월형(半月形)이라 부르고, 둥글고 높이 솟은 산은 곡식을 쌓아 둔 모양과 같다고 하여 노적가리 형상이라고도 부르며 재물과 부한 기운을 안겨주는 부봉형(富峯形) 산형에 속한다.
대체로 날짐승의 형상으로 대개 혈이 맺는 곳이 주로 날개(翼)와 벼슬(冠), 생식기(窩) 쪽에 이루어진다고 보는 것이다. 사업이나 장사를 하는 사람들은 이 부봉형 토형산을 오르면서 건강하고 힘찬 기운을 받아봄 직도 하다.
▲ 청명한 기운을 안겨주는 수형산(水形山)

수성(水星)은 파도치는 모습 또는 물이 넘실대며 유유히 흐르는 모양으로 된 산을 말한다. 산의 기세가 큰 굴곡이 없는 반면, 마치 물이 넘실거리며 흐르듯 또는 파도치듯 능선이 부드럽게 이어져 진행해 가는 모습이며 산의 기운이 청명하면 선비나 학자 등이 나온다.
수성의 산 모양은 대부분 육지의 산세에 편중되어 있다. 수형(水形)의 산 모양은 대체로 뱀이나 용(龍)의 형상으로 요긴한 혈이 맺히는 곳이 보통 코(鼻), 이마(額), 귀(耳), 복부(腹), 꼬리(尾)나 머리(頭) 부분에 이루어진다고 본다.
뱀 모양, 즉 사형(蛇形)은 입에 강한 독이 있으므로 흉하다고 간주한다. 원대한 이상과 큰 목표를 향해 가는 사람들은 수형의 산을 오르면서 의지를 불태우며 기상을 키우는 것도 좋다.
▲ 오성(五星)의 산형과 건물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 신영대는?
= 대한풍수연구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역술인협회 공인 역학연구원이다. 중문학 박사와 풍수학자로서 ‘제주의 오름과 풍수’, ‘명리학원리대전’, ‘풍수지리학 원리’, ‘전원시인 도연명 시선', ‘흰 구름 벗을 삼아 읽어보는 당시선’ 등 다수의 저서를 냈다. '한라산 총서'의 구비전승·지명·풍수 분야와 ‘세계자연유산지구 마을일지 보고서’ 중 풍수 분야 공동 집필자로도 참여한 바 있다. 또 제주도 각 마을 '향토지' 풍수 부문에 공동 집필자로 참여하고 있다. 현재 제주관광대 관광중국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