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지란? "빈곤 때문에 길거리 떠돌며 걸식하게 된 백성"

2024.04.23 15:09:41

이권홍의 '중국, 중국인' ... 중국의 거지 (9) 거지의 논리 사유

거지 구성원은 복잡다단하며 역사 속 거지 형상은 기이하기 그지없다. 색채 또한 각양각색이다. 불결하고 죄악으로 넘쳐난다.

 

그 근본 원인은 무엇일까? 곤궁에 있다. 의식주를 해결하지 못하여 목숨을 연명할 방법을 찾아야 하는 사람들이 걸었던 길이다. 지금도 여전히 가난을 견디지 못하고 거지가 된 사람들이 부지기수다.

 

거지왕국 중 점점 많아지는, 신비한 죄악의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운 유혼(遊魂)은 거지 현상이 번식된 파생물이다. 거지 가사를 뒤집어쓴 범죄 무리로, 불량배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런 찌꺼기들이 거지 단체 중에 갈수록 많은 부분을 차지하면서 거의 주체가 되다시피 했다. 걸식이라는 명목을 가진 불량배요 범죄 집단이다. 바로 ‘직업 거지’다.

 

정당한 직업을 가질 수 있으면서도 직장을 구하지 않는다. 정당한 직업에 종사하지 않은 일부를 포함하는 ‘직업 거지’ 현상과 ‘거지 조직’의 형성은, 성격적으로 거지 집단을 완전하면서도 철저하게 사회문명이라는 유기체 내의 부스럼이요 악성 종기로 전락하게 만들었다.

 

그런 악성 종기는 여러 가지 사회범죄와 한 덩어리가 되었다. 함께 행동하고 의기투합해 인류문명사에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사회의 악이 되어 버렸다. 거지 현상은 만연성이 지극히 강한 두려운 사회악이 되었다. 오랫동안 정리할 수 없었고 근절될 수 없었다.

 

빈곤 때문에 걸식해야만 하는 본래 의미에서, 거지가 끊임없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은 더 이상 중요한 이유가 되지 않는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회경제, 문화가 발달하지 않음에 있다.

 

문명 수준의 높고 낮음에 따라 파생된 범죄는 왕왕 그런 가사를 쓰고 그런 분야를 점유해 이용하면서 여러 죄악과 한 덩어리를 이뤘다.

 

거지의 논리 사유

 

당나라 때 대시인 두보(杜甫)에게 추숭 받았던 유명한 문학가 원결(元結)은, 자는 자산(次山)이요 호는 만랑(漫郞), 오수(聱叟)로 719년에 태어나 772년에 세상을 떠났다. 시문은 정치 현실과 백성의 고통스런 삶을 집중적으로 반영하였다.

 

원결은 전문 문장 『개론(丐論)』 한 편을 써서 거지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논했다. 원결의 대의는 이렇다 :

 

천보(天寶) 7년(748) 중원절(中元節)에 당시 경도 장안을 유람할 때에 거지와 교류하였다. 거지와 친교를 맺는 것이 너무 쌍스럽지 않느냐고 묻는 사람이 있었다. 원결은 답했다.

 

“옛사람들은 사는 곳에서 친구를 찾지 못하면 구름과 산을 벗으로 삼았고 이웃에 군자가 없으면 송백으로 벗을 삼았소. 군자와 함께하지 못하면 거문고와 술을 벗으로 삼았고 다른 나라를 두루 돌아다닐 때에도 군자를 만나기만 하면 교류하였소.

 

거지는 지금의 군자요. 그들과 벗을 맺지 못할까 염려될 뿐이요. 거지에게는 거지의 도리가 있소. 그 말 들어보셨소? 거지와 친구를 맺은 후 거지 친구에게 어떤 도리가 있느냐고 물으니 거지 친구가 답을 합디다.”

 

“당신, 거지인 나와 친구를 맺었으니 부끄럽소? 세상에 부끄러워해야할 사람들이 많고도 많소!

 

모든 사람이 종실의 구성원이 되려고 구걸하오. 시집가기를 구걸하오. 명예와 지위를 구걸하고 남에게 안색을 구걸하지요. 심지어 부끄러움을 모르는 가노와 비녀처럼 권세가들 앞에서 무릎 꿇고 구걸하기도 하지요.……더 심한 것은, 구하는 것이 있어 다른 집의 노복을 에워싸 뱅글뱅글 돌면서 구걸하기도 하오. 목숨을 보전하려고 고관 희첩(姬妾)의 치마 아래 엎드리기도 하오. 종묘에는 구걸하지만 얻지 못하지 않소? 처자를 구하지도 못하면서 말도 못하지 않소. 이런 지경에 이르렀는데 어찌 부끄럽다 하지 않겠소!

 

거지는 남이 버리는 옷을 구걸하고 남이 버리는 음식을 구걸하오. 지팡이 짚고 길거리에서 구걸할 뿐이요. 천하의 사람과 같이 되고자 할 따름이오. 그렇지 않다면 세상에 어찌 낯짝을 내밀 수 있겠소. 의복과 음식을 구걸하는 것은 가난하기 때문이오. 가난해서 거지가 된 것이니 부끄러운 마음은 없소. 행동도 다른 사람과 같소. 다르지 않소. 이것이 군자의 길이오.

 

군자가 어찌 완전무결하기를 바라겠소? 다행히도 산림에 있지 않고 오지병과 지팡이를 가지고 있으니 거지와 같은 모양을 하고 거지의 언어를 배우며 거지와 만나고 있는 것이오. 거지가 부끄럽지 않소.”

 

원결은 거지의 말을 듣고 「개론(丐論)」을 써서 “「시규(時規)」를 보충하였다”라고 하였다.

 

이 글은 거지의 말을 빌려 당시 사회를 풍자하고 있다. 당시의 사회병폐를 질타하는 「개론」을 보면, 본래 의미를 유지하면서 가난해서 걸식하게 된 거지의 인격을 존중하여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치가 정당하며 날카롭고 엄숙한 말 중에 거지의 역사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드러내고 있다.

 

당나라 때에, 적어도 원결이 살고 있던 당시에는, 어리석은 황제 이륭기(李隆基)가 정권을 잡고 있던 천보 연간에는, 중국의 거지 단체는 기본적으로 빈곤 때문에 길거리를 떠돌아다니며 걸식하게 된 백성이었다. 본래 뜻대로의 거지, ‘정종(正宗)’ 거지다.

 

적어도 그때에는 불량배가 아직 거지의 중심 구성원이 되지 않았다. 악한이나 도둑, 무뢰배들이 거지 왕국에 부정적인 수단으로 주도 지위를 차지하지 않고 있었다.

 

거지 단체의 구성원은 당(唐)대와 오대(五代)에 처음으로 범죄단체와 같은 성격으로 추락하기 시작하였다. 송(宋), 원(元)을 거쳐 명(明), 청(淸)대에 이르면 두르러졌다.

 

이전 사료에서 찾을 수 있는 거지의 자료를 보면, 거지와 관련된 여러 이문취사나 거지의 덕행 이외에 비교적 많은 부분은, 가난 때문에 사방으로 흩어질 수밖에 없었던 거지들이 어떻게 세상에서 경시받고 모욕당했는지를 기록하고 있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나와 대만 국립정치대학교 중문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으로 『선총원(沈從文) 소설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한자풀이』,『제주관광 중국어회화』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중국어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권홍 제주국제대 교수 lee@jeju.ac.kr
< 저작권자 © 제이누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원노형5길 28(엘리시아아파트 상가빌딩 6층) | 전화 : 064)748-3883 | 팩스 : 064)748-3882 사업자등록번호 : 616-81-88659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제주 아-01032 | 등록년월일 : 2011.9.16 | ISSN : 2636-0071 제호 : 제이누리 2011년 11월2일 창간 | 발행/편집인 : 양성철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성철 본지는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Copyright ⓒ 2011 제이앤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nuri@jnur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