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올해 도민사회를 달군 환경 관련 10대 뉴스를 꼽았다. 환경부가 전략환경영향평가 반려 판단을 내린 제주 제2공항 사업부터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 결정까지 포함됐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환경부의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 반려 등 올해 10대 제주 환경뉴스를 자체 선정, 22일 발표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 반려에 대해 "이로써 제2공항은 추진동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됐다"면서 "국토부는 반려 사항을 검토해 보겠다고 하며 차기 정부로 떠넘기려고 해 제2공항 백지화는 내년을 기약하게 됐다”고 풀이했다.
이 단체는 오등봉공원 민간 특례개발 사업에 대해서 "제주판 대장동 사업이라 불리는 이 사업은 올해 제주 사회를 가장 뜨겁게 달군 환경 현안이었다”면서 "내년에 감사원 조사 결과와 공익소송 1심 재판 결과 등이 발표될 예정으로, 사업 중단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집중돼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에 대해서 “제주의 경우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핵오염수 피해를 보는 지역이기에 반발은 더욱 컸다”면서 “외교적으로 풀어나가야 하는 문제인 만큼 차기 정부와 도정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관행적 토건 사업이 된 하천 정비사업의 문제점도 꼽혔다. 이 단체는 “도내 주요 하천들은 실제 재해예방 효과도 확인되지 않은 채로 매해 정비사업이 이뤄지고 있다”면서 "관행화된 토건사업의 형태로 이뤄지면서 주요하천이 이미 상당히 파괴된 상태다. 도는 이 상황에서 ‘제주시 하천정비 기본계획’에 이런 문제를 반영해 더 나은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공언, 관심이 모아진다”고 말했다.
이 단체는 제주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에 대해서 “공사시행자를 구하지 못해 사업이 중단되고, 환경공단과의 불공정계약 논란까지 일면서 제주의 심각한 하수처리문제에 대해 도의 대응이 미흡, 비판이 거세다”면서 “제주시내 개발사업들이 속속 추진되거나 준공을 앞두고 있어 하수처리 부하가 더 커진 상황에 내년 하수처리난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환경운동연합은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 도의회 통과 ▲비자림로 확장·포장 공사 추진 지속 ▲제주동물테마파크 사업 사실상 좌초 ▲곶자왈 훼손하는 제주영어교육도시 2단계 사업 추진 ▲일회용 플라스틱 줄이기 실천 노력 확대 등도 올해의 제주 환경 관련 뉴스로 선정했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